뉴스

21,481

19세기 유럽에 전파됐던 조선 지도에 독도 옛 이름 '우산'있었다

조회 8,085회   댓글 0건

레벨3 3

머니맨

2023-02-22 19:00

인사이트김대건 신부가 1845년 제작한 조선전도에 나오는 울릉도와 독도 / 제공 동북아역사재단


[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한국 최초의 신부 김대건 신부(1821~1846)가 직접 제작한 지도에서 독도의 옛 이름인 우산(于山)을 로마자 'Ousan'이라고 명확히 적었다는 것이 최근 연구 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동북아역사재단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 '김대건 신부의 조선전도 연구'에서 김대건 신부가 1845년 제작한 조선전도가 유럽 지리 정보에 끼친 영향력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 지도는 독도뿐 아니라 조선팔도의 지명을 로마자로 표기한 최초의 지도다.


김대건 신부는 독도 바로 왼편에 'Oulnengtou'(울릉도)'를 함께 표기했다. 동북아재단은 다른 산이나 강의 이름을 적지 않은 반면 울릉도와 독도를 특별히 기록한 것은 독도가 조선의 땅이라는 사실을 밝히려는 의도였다고 분석했다.


김대건 신부가 제작한 조선전도는 프랑스 파리외방교회에 전해져 유럽 지리학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지라학자 말트 브렁은 1856년 펴낸 '세계지리' 3권 215쪽 아시아 편에서 김대건 신부가 그린 조선전도의 지명 등을 축약해 정리했다.


한편 김대건 신부의 조선전도는 1978년 고 최석우 몬시뇰이 처음 발견해 존재가 알려졌다. 이 지도는 프랑스 해군을 거쳐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

제목 작성정보
기이한 얼음 쟁반이 동동...英서 포착된 희귀 현상

기이한 얼음 쟁반이 동동...英서 포착된 희귀 현상

스코틀랜드 고원에서 독특한 '아이스 팬케이크'가 포착돼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아이스 팬케이크는 수면 위에 얼음이 원형으로 얼어있는 현상을 뜻한다. 이 모습이 둥근 팬케이크를 닮아 '아이스 팬케이크'로 불린다.아버지와 함께 먼로(Munro) 강 인근을 등산 중이던 댄 브라운(32)은 거대한 아이스 팬케이크를 우연히 발견했다. 그는 "작은 폭포 아래 완벽히 둥근 얼음이 천천히 돌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아이스 팬케이크는 일반적으로 극한의 온도인 북극이나 남극 바다에서 주로 목격되며, 그 외의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현재까지 보고된 아이스 팬케이크의 지름은 약 20cm에서 200cm까지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아이스 팬케이크는 남극이나 북극 등 극한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거친 바다에서 형성된다. 파도가 얼음조각들을 서로 부딪히게 해 가장자리를 둥글게 만든다. 빠르게 흐르는 바닷물에서 작은 얼음조각들이 표면에 모여 형성되기도 한다.

조회수: 11,968|댓글: 0

149레벨1 1

머니맨

2023-02-01 12:16

머니맨 텔레그램 고객센터: https://t.me/ajslaos79
먹튀검증,토토사이트추천,먹튀사이트차단,스포츠중계,전세계모든경기 중계,업계최초 mlb심판정보제공 대한민국1등 토토커뮤니티 머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