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1,342

지진 난 줄도 모르고 '꿀잠' 자다가 구조된 아이...구조대원이 아이가 놀랄까 봐 처음으로 해준 말 (영상)

조회 4,287회   댓글 0건

레벨3 3

머니맨

2023-02-09 11:00

인사이트YouTube 'MBCNEWS'


[인사이트] 성동권 기자 = 튀르키예 지진 현장 속에서 잠을 자고 있던 아이가 구출됐다.


꿈인지 현실인지 분간조차 할 수 없는 상황 속 아이가 던진 질문에 구조 대원들은 아이를 안심시키기 위해 '좋은 아침'이라는 인사를 건넸다.


지난 8일 MBC 뉴스에 따르면 지진 발생 직후인 지난 6일 남부 카라만마라의 한 건물 잔해에서 남자 아이가 구조됐다.


해당 건물은 지진으로 완전히 무너졌지만 아이는 기적적으로 잔해물 속 만들어진 공간에 살아남았다.


인사이트YouTube 'MBCNEWS'


지진이 일어난 줄도 모른 채 자고 있던 아이는 구조 대원이 접근하자 그제야 잠에서 깨어난다.


내복 차림으로 일어난 아이는 눈을 비비며 주위를 둘러봤고 구조대는 아이의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담요로 몸을 감싼 뒤 조심스럽게 안아 올린다.


자신을 둘러싼 구조대를 보고 이상함을 느꼈는지 아이는 '무슨 일이에요?'라고 반복해서 질문을 던졌다.


인사이트YouTube 'MBCNEWS'


이에 한 구조 대원은 아이를 안심시키기 위해 부드러운 목소리로 '좋은 아침이야'라고 답한다.


아이는 검사를 위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부모의 생사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부디 아이의 부모도 무사하기를', '구조 대원의 말에 눈물이 핑 돌았다', '더 많은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YouTube 'MBCNEWS'

제목 작성정보
발사된 지 벌써 일 년…제임스 웹이 관찰한 초기 우주의 모습은

발사된 지 벌써 일 년…제임스 웹이 관찰한 초기 우주의 모습은

미 항공우주국(NASA, 이하 나사)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이하 웹)이 촬영한 성단 NGC 346의 이미지를 공개했다. 초기 우주와 비슷한 별과 행성 형성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천체다.나사는 11일(현지시간) 불과 20광년 떨어진 소마젤란 은하 속 성단 NGC 346을 웹으로 포착한 이미지를 공개했다.소마젤란 은하는 지구 남반구에서도 육안으로 보이는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다. 대마젤란 은하에 비해서는 작지만 전체 질량은 태양 질량의 70억 배에 달한다.특히 이 안에서 웹이 촬영한 NGC 346은 가장 가까운 성단 중에서 수소와 헬륨보다 무거운 중원소(금속성)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과학자들이 주된 연구 대상이 된다.금속성 원소의 비중이 낮다는 것은 빅뱅이 일어나고 불과 20~30억년 지난 초기 우주를 가리키는 ‘우주의 정오’와 비슷한 형태라는 뜻한다. 별들이 가장 활발하게 생성된 시기다.NGC 346 내부에 있는 원시성(protostar)을 관찰하고 우리 은하의 별들과 비교하면 별의 형성과정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 스피처 우주망원경으로 관찰했을 때에는 태양의 5~8배 질량을 가진 거대한 원시성들만 관측할 수 있었는데, 웹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는 태양 10분의 1밖에 되지 않는 질량의 원시성들까지 포착해냈다.한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지난 2021년 12월 25일(현지시간) 아리안 5호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 한 달간 지구와 달 거리의 4배에 이르는 약 150만km를 날아 목표로 했던 라그랑주2(L2, 지구와 태양간 중력이 없어지는 지점) 지점에 무사히 도착했다. 이어 조정을 마치고 2022년 7월 첫 이미지를 공개했다.

조회수: 10,777|댓글: 0

150레벨1 1

머니맨

2023-02-01 12:19

기이한 얼음 쟁반이 동동...英서 포착된 희귀 현상

기이한 얼음 쟁반이 동동...英서 포착된 희귀 현상

스코틀랜드 고원에서 독특한 '아이스 팬케이크'가 포착돼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아이스 팬케이크는 수면 위에 얼음이 원형으로 얼어있는 현상을 뜻한다. 이 모습이 둥근 팬케이크를 닮아 '아이스 팬케이크'로 불린다.아버지와 함께 먼로(Munro) 강 인근을 등산 중이던 댄 브라운(32)은 거대한 아이스 팬케이크를 우연히 발견했다. 그는 "작은 폭포 아래 완벽히 둥근 얼음이 천천히 돌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아이스 팬케이크는 일반적으로 극한의 온도인 북극이나 남극 바다에서 주로 목격되며, 그 외의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경우는 드물다. 현재까지 보고된 아이스 팬케이크의 지름은 약 20cm에서 200cm까지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아이스 팬케이크는 남극이나 북극 등 극한의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거친 바다에서 형성된다. 파도가 얼음조각들을 서로 부딪히게 해 가장자리를 둥글게 만든다. 빠르게 흐르는 바닷물에서 작은 얼음조각들이 표면에 모여 형성되기도 한다.

조회수: 11,908|댓글: 0

149레벨1 1

머니맨

2023-02-01 12:16

머니맨 텔레그램 고객센터: https://t.me/ajslaos79
먹튀검증,토토사이트추천,먹튀사이트차단,스포츠중계,전세계모든경기 중계,업계최초 mlb심판정보제공 대한민국1등 토토커뮤니티 머니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