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270
쇠락의 길 접어든 셰일오일, 원유시장 주도권은 어디로?
조회 4,35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4-05 17:00
쇠락의 길 접어든 셰일오일, 원유시장 주도권은 어디로?

제1차 오일 쇼크로부터 약 50년. 2022년 세계는 다시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해 고민하고있다.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고 전기 요금과 가스 가격의 상승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자동차 산업 역시 전동화로의 전환 속에서 에너지의 공급에 크게 영향을 받는 부문인 만큼, 현 상황을 다시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 현재의 에너지 위기는 무엇으로 부터 왔는지 알아본다.

2022년 가장 충격적인 사건은 단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으며, 격렬한 전투는 아직 끝이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그 영향은 양국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세계 각 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것은 '국제 에너지 시장의 혼란'이다. 세계 굴지의 에너지 강국인 러시아는 지금까지 많은 석유와 천연가스, 석탄을 국외로 수출하고 있었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침략 이후 러시아가 천연 자원의 수출량을 좁히고 서방 국가에 압력을 가한 것,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제재로 서방 국가가 러시아 산 자원의 금수 조치 등을 실시함으로써 국제 에너지 공급에 큰 어려움이 발생했다.
예를 들어,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독일에서는 2020년에는 천연가스의 약 55%를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우크라이나 침략으로부터 5개월이 지난 2022년 7월 말, 독일의 러시아산 가스 수입량은 크게 낮아졌다. 이 결과, 국제에너지시장에서의 수급 균형은 크게 무너져 세계적으로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제에너지시장에서의 수급이 불균형 한 가운데에도 인도, 동남아시아 등 신흥국의 에너지 수요는 각국 경제의 발전에 따라 계속 증가하고 있다. 국제기구의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 인도의 에너지 수요는 2010년에 비해 천연가스가 3.2배, 원유가 2.8배, 원자력은 무려 11.2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러한 수요의 증가는 미래의 에너지 가격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 원유 등 에너지 산출국 측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한때 에너지의 수입국이었던 미국은 이른바 '셰일 혁명'에 의해 이제 생산량이 수입량을 넘어서고 있으며, 에너지 수출국으로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중동으로 부터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의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의 철수 등, 국제 정세의 변화까지 이어지면서 아직도 중동산유국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상황은 에너지 조달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특히 국제 유가 안정에 기여했던 미국의 셰일 오일 생산이 최근 완만한 성장세로 돌아서면서 과거 장미빛 전망을 퇴색시키고 있다. 지난해는 국제유가(WTI 기준)가 연평균 94달러에 달하는 고유가의 해였다. 하지만 셰일오일 생산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완만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바이든 대통령은 업계에 대한 증산 요청 실패로 수백만 배럴의 전략비축유를 풀고 그도 모자라 굴욕을 무릅쓰고 사우디 빈 살만 왕세자를 찾아가기도 했다.
2008년 이후 유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갔지만, 셰일 업체들은 생산량을 늘리기 못하고 있다. 이는시추하는데 드는 비용이 높아지고, 노동력 부족 상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최대 셰일 에너지 생산업체 파이오니어 내추럴 리소스의 최고경영자(CEO) 스콧 셰필드는 “미국 셰일의 거침없던 성장의 시대는 끝났다”며 셰일 에너지가 예전처럼 공급 부족분을 메워주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현재 미국의 셰일 석유 생산량은 지난 18개월동안의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이전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여기에 셰일 시추공 1곳당 산유량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유정을 시추하는데 드는 비용도 갈수록 비싸져 라이스태드 에너지는 2019년 730만달러였던 유정당 평균 시추 가격이 올해 900만달러(약 111억원)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여기에 현장에서 일할 근로자들 부족도 심각한 문제로 지적됐다.

최근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세계 석유 수요가 지난해보다 하루 170만 배럴 늘어난 1억164만배럴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반면 석유 공급은 77만 배럴이 늘어나며 1억81만 배럴로 예측했다. 수요 우위 시장을 전망했는데 러시아에 적용되는 석유 수출 제한과 가격 상한제 영향으로 공급이 줄어드는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석유수출국기구 OPEC 역시 올해 세계 석유 수요는 하루 221만 배럴 늘어난 1억177만 배럴로 예측됐다. 비OPEC 산유국 생산량은 하루 154만 배럴이 늘어난 6,711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주요 공급처에서 제외되었고, 미국 셰일 업계는 성장동력이 둔화되었다. 결국 최종 선택지는 OPEC의 핵심인 중동 산유국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탈탄소 시대로 가고 있지만, 여전히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는 80%에 달하는 것이 현실이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현대차·기아, 워커힐과 손잡고 ‘모빌리티 친화 호텔’ 구축 추진
[0] 2025-05-20 17:25 -
GMC, 2026년형 허머 EV 공개…‘킹크랩’ 오프로드 모드 및 양방향 충전 지원
[0] 2025-05-20 17:25 -
현대차 中 시장 반전 카드 '일렉시오'… 2분기 흑자 전환에 핵심 원동력
[0] 2025-05-20 17:25 -
현대차·기아, 워커힐 호텔 셔틀 서비스에 맞춤형 셔클 플랫폼 적용 및 실증 진행
[0] 2025-05-20 17:25 -
美 교통부, '전기차 포함 평균 연비' CAFE 철회 추진... 완성차 업계 비상
[0] 2025-05-20 17:25 -
포르쉐, 헤리티지 디자인 담은 911 스피릿 70 '올리브 네오 레트로 감성 가득'
[0] 2025-05-20 17:25 -
마세라티, ‘2025 GT2 유러피언 시리즈’ 2라운드 종합·클래스 동시 우승
[0] 2025-05-20 14:45 -
[EV 트렌드] '시장 판도를 바꿀 잠재력' 샤오미 이번주 YU7 출시
[0] 2025-05-20 14:45 -
토요타 공식인증중고차 전시장 신규 오픈, 전국 4개 거점으로 확대
[0] 2025-05-20 14:45 -
벤츠 플래그십 대형 트랙터 ‘뉴 악트로스 L 프로캐빈' 안전 사양 공개
[0] 2025-05-20 14: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 ·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3 참가...다양한 공간에서 전동화 기술 체험
-
40톤급대형전기트럭 '볼보 FH일렉트릭' 국내 최초 공개, 1회 충전 최대300km
-
국산차보다 멀리 가는 中 BYD 1톤 전기트럭 'T4K' 4월 론칭...상품성ㆍ보조금 관건
-
‘프로젝트 마이바흐(Project MAYBACH)' '2023 서울패션위크'에서 국내 최초 공개
-
온세미, 자동차 무선 애플리케이션용 블루투스 저에너지 MCU 제품군 확대
-
폭스바겐그룹, 견고한 재무실적으로 주요 시장에서 수익성 있는 성장 기반 마련
-
현대차-고용노동부-블루핸즈, 친환경차 정비 인력 양성을 위한 mou 체결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3’ 참가
-
볼보트럭 EV 트렌드 코리아 2023 참가, 전기트럭 국내 최초 공개
-
볼보 EX90 ‘고정밀 티맵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탑재...무선업데이트, 결재 기능 등 추가
-
[Q&A] 볼보 CEO 짐 로완 및 경영진 첫 방한, 간담회 질의응답
-
현대차그룹, 대한상의·효성그룹과 함께 국민 안전 지키는 소방공무원 복지·안전 지원
-
볼보자동차코리아, 통합형 티맵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고도화로 디지털 혁신 선도
-
[EV 트렌드] 최대 487마력 발휘, 中 샤오펑 중형 크로스오버 SUV 'G6' 공개
-
현대차, SDV 체제 전환 가속화 IT 우수 인재 확보...ICT본부 대규모 경력사원 채용
-
[르뽀] 보조금 다 받는 현대차 일렉시티 타운, 반토막 중국산 전기버스 물렀거라
-
친환경차 다 모였네 ‘EV 트렌드 코리아 2023’ 개막, 전기차 관련 산업 한 자리
-
[리뷰] 기아 플래그십 SUV EV9 실물 보니 '비대칭 별자리 새겨 놓은 위압적 외관'
-
[영상] 볼보 짐 로완 CEO 첫 방한, 안전은 출발점이자 핵심 목표
-
폭스바겐그룹, 전기차와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 투자한다
- [유머] 젬버리 근황
- [유머] 카톡선물 하겐다즈케이크 후기
- [유머] 카페에서 고백받은 미남썰
- [유머] 가족, 친구 사이에 여행 중 절대로 하면 안되는 말.jpg
- [유머] 강아지 급하게 못먹도록만든 그릇
- [유머] 외국 구글 평점 2.1점 뷔페 후기
- [유머] 어떻게 사람의 몸이...
- [뉴스] CNN이 주목한 '노량진 수산시장'... 개불에 산낙지까지 접한 반응은? (영상)
- [뉴스] 반으로 접히는 '아이폰 폴드', 드디어 핵심 스펙 공개됐다
- [뉴스] 박은혜, '인성여고 얼짱' 시절 사진 공개... '공개 고백 받고 난리 났었다'
- [뉴스] '계약 조건이...' 홍현희♥제이쓴 부부, 1년만 60억 강남 아파트 떠난 이유
- [뉴스] '골프여제' 박인비의 슬럼프 시절 고백... '골프 그만두고 비디오 가게 하려 했다'
- [뉴스] '전 국민 앞에서 성관계 수준'... 알몸으로 침실서 사망한 여성 스타 사연
- [뉴스] 올여름, 조정석표 '코미디' 돌아온다... 영화 '좀비딸' 티저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