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994폭스바겐그룹, 견고한 재무실적으로 주요 시장에서 수익성 있는 성장 기반 마련
조회 4,119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3-15 17:00
폭스바겐그룹, 견고한 재무실적으로 주요 시장에서 수익성 있는 성장 기반 마련

폭스바겐그룹이 독일 현지시간 기준으로 3월 14일 연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2년에 이룬 견고한 실적을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그룹이 2023년을 위한 견실한 재정 기반과 함께 자동차 부문에서 강력한 마진과 매우 견고한 순유동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룹의 전기차(BEV) 전략은 작년에도 지속적으로 발전, 강력한 성능을 토대로 한 최신 모델들의 인기로 입증됐다. 그룹은 유럽 BEV 시장의 리더에 이어 중국 시장에서도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2023년 새로운 주요 모델 출시로 그룹의 시장 포지션은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폭스바겐그룹 최고경영자(CEO) 올리버 블루메(Oliver Blume)는 “2022년은 폭스바겐그룹에게 중요한 한 해였다. 그룹은 극심한 역풍에도 불구하고 전략 실행에 있어 진전을 이루었다. BEV는 총 인도량의 7%를 차지했는데, 이는 그룹의 주요 라인업이 계속 성장함에 따라 올해 더욱 발전할 중요한 이정표다. 그룹은 Top 10 프로그램(하기 이미지)에 따라 브랜드별 신제품 전략, 플랫폼 간소화, 소프트웨어 로드맵 수정 등 전략 실행을 위한 중요한 단계를 거쳤다. 우수한 제품과 기술의 생산 및 개발 현지화에 더욱 집중해 글로벌 입지를 다졌다. 2023년은 그룹 전체에 걸쳐 전략적 목표를 실행하고 진전을 가속화하는 결정적인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속가능한 성장 위한 강력한 재정 기반
폭스바겐그룹의 2022년 총 인도량은 830만 대로 전년 대비 7% 감소했지만, 그룹은 미래 성장을 위한 견고간 기반을 마련했다. 특별항목 제외 영업이익이 2022년 8.1%로 증가, 이는 그룹의 지속적인 비용 개선과 가격 정책 반영, 보다 강력한 모델 다변화에 의해 주도되었다. 자동차 부문 현금흐름의 경우 특히 지난 연말 공급망과 물류 이슈로 인한 운전자본 증가로 48억 유로로 감소했다. 이는 올해 반전되어 자동차 부문의 순유동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룹은 180만 대에 이르는 높은 주문량과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올해 강력한 위치를 유지하고, 공급망 병목 현상은 점차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자동차 부문 순유동성은 포르쉐 AG의 IPO에 힘입어 2022년 말 430억 유로로 증가했다.
그룹은 2023년부터 2027년까지 가장 매력적인 수익 부문에 총 1,800억 유로를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여기에는 특히 그룹의 배터리 전략을 비롯해 북미 지역에서의 입지 확대, 중국 내 디지털화 및 제품경쟁력 강화, 그룹의 선도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투자의 2/3 이상(68%)이 미래 디지털화와 전동화 분야에 집중될 예정이다. 이 비율은 지난 5개년 계획에서 56%였다. 이르면 2025년에는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차량 5대 중 1대가 순수 전기구동 차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 확대의 주요 원인은 배터리 스타트업 파워코(PowerCo)의 셀 공장 건설을 위한 최대 150억 유로 투자를 비롯해 배터리 전략 구현의 일환으로 원자재 확보를 위한 선행 투자를 꼽을 수 있다. 파워코는 2030년까지 연간 200억 유로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마지막 내연기관 세대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이다. 투자는 2025년 정점에 도달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폭스바겐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 겸 최고운영책임자(COO) 아르노 안틀리츠(Arno Antlitz)는 “2022년은 그룹 비즈니스 모델의 견고함을 인상적으로 보여준 한 해였다. 어려운 상황에서 572,100대의 BEV를 인도했고, 전반적인 수익과 영업이익이 증가했다. 2023년은 여러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룹의 강력한 브랜드는 경쟁력 있는 제품과 180만 대에 이르는 주문량을 기반으로 그룹이 자신감을 가질 수 있게 해준다. 그룹은 올해에도 견고한 수익 창출이 목표다. 강력한 재정 기반은 도전적인 경제 상황 속에서도 그룹이 전동화와 디지털화에 계속해서 투자할 수 있게 해준다”고 말했다.
시장을 선도하는 BEV 제품 포트폴리오
폭스바겐그룹의 제품 포트폴리오는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BEV 부문에서 주목할 만한 성공을 거뒀다. 그룹의 2022년 BEV 인도량은 26%의 성장률을 기록, 총 인도량에서 BEV 점유율은 7%에 달했다. BEV는 이제 그룹 주문량의 16%를 차지하며 그룹의 전략적 우선순위로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룹은 고객 요구에 맞춘 새로운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이 부문의 추가 성장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유리한 입장에 놓였다. 2023년에는 폭스바겐 ID.3, ID.7 및 아우디 Q8 e-트론을 포함한 중요한 새로운 모델들을 선보일 계획이다. 그룹은 신모델 출시와 함께 2023년 총 인도량에서 BEV 점유율을 약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견고한 영업이익으로 입증된 폭스바겐그룹 브랜드의 강점
지난해 특별항목 제외 영업이익은 2021년 대비 12.5% 증가한 225억 유로를 기록하며 그룹 브랜드의 강점을 뒷받침했다. 전체 브랜드 그룹에 걸친 수익 증대는 주로 프리미엄 및 스포츠 브랜드 그룹과 볼륨 브랜드 그룹의 제품 다변화에 의해 주도되었다. 볼륨 브랜드 그룹의 작년 총 인도량은 410만 대로 전년비 소폭 감소했지만, 특별항목 제외 영업이익은 40억 유로(2021년 35억 유로)로 증가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그룹의 영업이익은 프리미엄 차량에 대한 탄탄한 수요와 높은 주문량, 그리고 람보르기니, 벤틀리 브랜드의 강력한 성과로 인해 12.3%(2021년 10.6%)로 증가했다. 프리미엄 브랜드 그룹의 2022년 매출은 618억 유로(2021년 559억 유로), 특별항목 제외 영업이익은 76억 유로(2021년 59억 유로)로 개선되었다.
포르쉐의 영업이익은 18.6%로 증가했는데, 주된 요인은 BEV 비중이 총 인도량의 11% 이상을 차지하면서 더 많은 주문량과 가격 정책의 개선, 보다 나은 제품 다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포르쉐 타이칸은 출시 2년 만인 지난해 10만 대 생산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폭스바겐 파이낸셜 서비스는 57억 유로의 영업이익으로 그룹의 강력한 재무실적에 다시 한번 핵심적으로 기여했다.
트라톤 상용차 부문 매출은 2021년 301억 유로에서 2022년 395억 유로로 늘었다. 트라톤 그룹은 영업이익 16억 유로(2021년 4억 유로), 영업이익률 4%(2021년 1.3%)로 늘렸다.
전동화 추세로 북미 시장에서도 성장 기반 다진 폭스바겐그룹
폭스바겐그룹의 북미 시장 확장 전략은 2022년에도 이어지며 의미 있는 이정표를 세웠다. 여기에는 미국 리더십팀의 강화, 2022년 채터누가(Chattanooga) 공장에서 첫 생산된 ID.4, 그리고 2026년 첫 전기차를 선보일 상징적인 스카우트(Scout) 브랜드 발표가 포함된다.
미국 BEV 인도량은 전년비 18.8% 증가한 44,200대를 기록, 그룹은 전기차 부문에서 4위를 차지했다. 그룹은 현재 내연기관 차량을 포함해 전체 시장에서 4%의 시장점유율을 점하고 있으며, 2024년 ID.7 및 ID. 버즈의 출시를 포함해 가장 폭넓게 제품 라인업을 확장함으로써 2030년까지 점유율을 1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현지화 접근 통한 중국 시장의 회복
중국은 산업의 변화와 그룹의 탈탄소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룹은 중국 내 의사결정과 개발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기 위해 크로스-브랜드 위원회 제도를 도입했다. 그룹의 현지화 전략은 중국 인공지능 칩 개발업체인 호라이즌 로보틱스(Horizon Robotics)와 같은 현지 파트너십 확장에 기여했다. 또한 그룹은 소프트웨어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중국 고유의 기술 개념을 추진하기 위해 카리아드 중국(CARIAD China)을 설립했다.
이러한 현지와 전략은 지난 한 해 이미 의미 있는 결과로 돌아왔다. 2022년 그룹의 ID. 제품군 인도량은 중국에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ID.3, ID.4 등 총 143,100대가 현지에서 판매돼 전년 대비 102.9%, 중국의 전체 BEV 인도량은 68% 증가했다.
2023년 폭스바겐그룹 연례 기자간담회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https://amc.volkswagen-group.com/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현대차, 유네스코 세계유산 야쿠시마에 ‘일렉시티 타운’ 전기버스 공급
[0] 2025-04-21 17:25 -
현대차, 장애인 채용 확대 및 양질의 일자리 제공... 고용공단과 업무협약
[0] 2025-04-21 17:25 -
기아 PV5, 본격 출시 3개월 앞두고 '경부고속도로' 등장… 이번에는 패신저
[0] 2025-04-21 14:25 -
한국타이어, 중대형 카고 트럭용 타이어 ‘스마트플렉스 DH51’ 출시
[0] 2025-04-21 14:25 -
현대차그룹-포스코그룹, 철강·이차전지 소재 포괄 협력... 시너지 기대
[0] 2025-04-21 14:25 -
볼보 S90 부분변경, 올 여름 중국 판매 시작...미국 및 유럽은 없어
[0] 2025-04-21 14:25 -
제프 베조스의 '슬레이트 오토'… 클래식카 닮은 3도어 SUV 티저 공개
[0] 2025-04-21 14:25 -
현대차·기아, 디자인 경쟁력 ‘2025 레드 닷 어워드’ 7관왕...EV3 최우수상
[0] 2025-04-21 14:25 -
[EV 트렌드] 테슬라, 코드명 E41 이른바 '저가형 모델 Y' 출시 연기
[0] 2025-04-21 14:25 -
[기자 수첩] 스바루가 내린 신형 아웃백 인테리어 결단에 쏟아지는 찬사
[0] 2025-04-21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F1 전설 애스턴마틴의 알론소, F1 역대 6번째 개인 통산 100회 포디움 기록 달성
-
한국타이어 후원, 치열한 경쟁 속 포르쉐 독주 '2023 줄리어스 베어 상파울루 E-PRIX’ 개최
-
제네시스, 플래그십 세단 G90 연식 변경 판매 개시 '롱휠베이스 1억 6757만 원'
-
'국내 최대 규모의 자동차 체험 공간' HMG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 2023 시즌 개막
-
[인터뷰] 롤스로이스 CEO, 스펙터의 아시아 최초 시장은 한국...6월 출시 예정
-
[시승기] '우리 쉐보레가 달라졌어요' 트랙스 크로스오버, 전에 없던 3가지 변화
-
[EV 트렌드] '2년간 아이오닉 6 무료 충전' 현대차, 미국서 EA 협업으로 파격 조건
-
볼보, 올 하반기 중국에서 소형 전기 SUV 생산해 해외로 수출한다
-
'또 히치 하네스 문제' 현대차 · 기아, 싼타페 · 카니발 등 미국에서 57만 대 리콜
-
혼다코리아, 장애인 가족 초청 영화 관람 문화 활동 지원
-
블루샤크코리아, 고성능 전기 스쿠터 'H1ㆍR1' 2023 서울 모빌리티쇼 최초 공개
-
쉐보레 브랜드 아이콘 '카마로' 2024년 단종...마지막 에디션 티저 공개
-
제네시스, 유럽 전략형 소형 순수전기차 출시 계획 '민트 콘셉트 기반 시티카'
-
한국앤컴퍼니, 해외서 판매 중인 ‘한국’ 브랜드 프리미엄 AGM 배터리 4월 국내 론칭
-
현대차·기아, 어드벤트와 가격 낮춘 초고온형 수소 연료전지 MEA 공동 개발 협약
-
스텔란티스코리아, 푸조 강화에 400억 투입 '2025년 전시장 · 서비스센터 36개'
-
[아롱 테크] 많게는 7개, 전기차 충전 커넥터는 왜 이렇게 많은 구멍이 필요할까?
-
지엠한국사업장, 전사적 내수 시장 잡기 '트랙스크로스오버'앰버서더발족
-
포드, 폭스바겐 MEB플랫폼 베이스 전기 익스플로러 공개
-
중국 호존자동차, 전기차 3,600대 동남아 시장으로 수출
- [유머] 한번 속여 팔면 9만원
- [유머] 뚜껑 열린 미친 차주
- [유머] 박제된 불륜남
- [유머] 발 사이즈 410인 14살 미국 학생
- [유머] 돌잡이 하다 와이프한테 혼남
- [유머] 바티칸에서 목숨이 위험했던 주교님
- [유머] 3만년전의 늑대
- [뉴스] 1732% 관세 피하려 '한국산' 붙여... 매트리스 740억원어치 몰래 판 중국 업체
- [뉴스] 김부선 '이재명, 매력 있어 퐁당 빠졌다... 홍준표, 돈 줘도 안 만나'
- [뉴스] '폭싹 속았수다' 최대훈 '학씨 아저씨 분장했는데... 돌아가신 아버지 보여 '오열'했다' (영상)
- [뉴스] '부잣집 딸'에 접근해 연애 시작한 뒤 부모 재산 100억 빼돌린 20대 남성
- [뉴스] 일본 해상보안청, 한국 갈치잡이 어선 체포... 보석금 내야 석방
- [뉴스] [속보] 정부, 유류세 인하 연장... 인하폭은 축소, 휘발유 15→10%·경유 23→15%
- [뉴스] '잘생긴 文·조국·오세훈은 외모 집착 안 하는데... 한동훈, 이상할 정도로 집착' 조롱글 올린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