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3,37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5-23 14:25
'한 줄로 세우면 지구 25바퀴' 혼다 모터사이클 누적 생산 5억대 돌파
혼다의 첫 양산형 모터사이클인 '드림 D 타입(Dream D-Type)'은 1949년에 출시된 기념비적인 모델로, 혼다 모터사이클 역사의 출발점이자 이후 전 세계 5억 대 생산 여정의 시발점이 됐다. (혼다)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혼다가 전 세계 모터사이클 역사상 처음으로 누적 생산 5억 대를 달성했다. 모터사이클 한 대의 길이를 약 2m로 가정하면 지구 둘레의 25배에 달하는 엄청난 기록이다. 전 세계 모터사이클 브랜드 가운데 야마하와 인도의 TVS, 히어로 모토코프 등만이 이제 막 1억 대를 돌파한 수준에 불과해서 혼다의 5억 대 돌파는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남게 될 전망이다.
혼다는 1949년 첫 모터사이클 ‘드림 D-타입(Dream D-Type)’을 출시한 지 76년 만에 대기록을 세웠다. 5억대 생산 달성 기념식은 혼다의 인도 아메다바드 공장에서 열렸다. 이번 쾌거는 단순한 숫자를 넘어 혼다가 겪어온 도전과 극복, 그리고 글로벌 이륜차 시장에서의 확고한 위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됐다.
혼다는 1948년 창립 이래 '기술은 사람들의 삶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라는 창업자 혼다 소이치로의 철학 아래 제품 개발에 나섰다. 1949년 양산형 모터사이클 ‘드림 D-타입’을 시작으로, 이후 1959년에는 미국 내 첫 해외 법인을 설립하며 본격적인 글로벌 진출에 나섰다.
1963년 벨기에에서 해외 첫 모터사이클 생산을 시작한 혼다는 이후 ‘수요가 있는 곳에서 생산한다’는 원칙 아래 북미, 아시아, 유럽 등지로 생산 기반을 넓혔다. 미국 오하이오주 메리스빌 공장에서 1979년 생산된 CR250M 엘시노어는 북미 시장을 겨냥한 대표적 사례였다.
혼다의 모터사이클 역사가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연간 생산량이 일시적으로 줄었지만, 끈질긴 회복력으로 매년 2000만 대 이상의 생산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18년부터는 내연기관(ICE) 모델뿐 아니라 전기 이륜차(EV) 시장에도 본격 진출하며 라인업을 확장했다.
1979년 미국 오하이오주 메리스빌 공장에서 북미 시장 전용으로 처음 생산하기 시작한 'CR250M 엘시노어'. (혼다)
글로벌 생산 누적량은 1997년 1억 대, 2008년 2억 대, 2014년 3억 대를 돌파한 데 이어, 2019년에는 4억 대를 넘어섰다. 그리고 마침내 2024년, 인도에서 5억 대 생산의 금자탑을 세우며 진정한 ‘글로벌 모터사이클 리더’로 자리매김했다.
혼다는 현재 전 세계 23개국, 37개 생산법인에서 약 100여 종의 모델을 연간 2000만 대 이상을 생산하고 있으며, 3만여 개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고객층에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출퇴근용 소형 스쿠터부터 장거리 주행용 투어러, 최근에는 전기 이륜차까지 다양한 수요를 아우른다.
특히 인도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절대적인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며 ‘국민 바이크’로 자리 잡았다. 미국 시장에서도 ‘골드윙(Gold Wing)’과 ‘섀도우(Shadow)’ 시리즈는 혼다 브랜드의 상징이 되었고, 현재는 ATV와 사이드 바이사이드 모델 생산이 카롤라이나 지역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혼다는 5억 대 달성을 계기로, 전기 이륜차 확대와 더불어 탄소중립 실현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선다. 2024년을 전기 이륜차의 글로벌 확대 원년으로 삼고 다양한 전동화 모델을 순차적으로 선보이고 있으며, 향후에는 AI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및 고성능 스마트 바이크 개발도 이어질 전망이다.
혼다 모터사 대표 미베 토시히로는 “모터사이클 사업은 창업자의 사업이자 혼다의 핵심”이라며 “개발부터 생산, 판매, 서비스까지 모든 과정에 함께해준 고객과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린다. 앞으로도 전 세계 고객에게 이동의 즐거움을 확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CES 2025] '이대로만 나와라' 2026년 북미 판매, 혼다 0 살롱 & 0 SUV 공개
-
'직관적 · 인체공학적 · 운전자 중심 제어' BMW 파노라믹 iDrive 최초 공개
-
콘티넨탈, 윈도우 프로젝션 솔루션 CES 공개...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공
-
'제네시스 G80 블랙' 판매 개시, 고급스러운 디자인 강조한 럭셔리 세단
-
스크린에 빠진 타이거 우즈, 제네시스 스크린 골프 리그 ‘TGL’ 공식 개막
-
'세계 최초, 세계 유일, 세계 최대' 현대차, 아마존서 장바구니 담기 가능
-
[EV 트렌드] 유럽 자동차 시장 풍향계 독일...전기차를 잃어버린 한 해
-
[CES 2025] 소니혼다모빌리티 '아필라 1' 내년 출시... 1억 3000만원
-
중국 자율주행차의 신박한 기술, 폭 2.5m 거대한 포트홀 날아서 통과
-
지난해 1~11월까지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25.9% 증가 '中 BYD 2배 성장'
-
[EV 트렌드] '빠르면 올 연말 공개' 페라리 첫 순수전기차는 크로스오버
-
CES 2025 - AI 주도권 쥐기 위한 엔비디아의 결과물
-
엔비디아, 글로벌 모빌리티 리더들과 자율주행 기술 협력 발표
-
CES 2025 - 지커, 고객 중심의 기술과 모델 라인업 공개
-
CES 2025 - 지커와 퀄컴, 차세대 스냅드래곤 콕핏 플랫폼으로 기술 협력 강화
-
2024년 수입차 판매, 하이브리드 차량 성장과 테슬라 약진
-
2025년 달라지는 자동차 관련 제도는?
-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 신년사, 혁신을 향한 의지로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 기회를 창출
-
미래 도시를 위한 살아있는 실험실 '도요타 우븐시티' 올 가을부터 입주
-
스텔란티스에 속한 지프와 램, 딜러 10명 중 7명이 못 믿는 브랜드 1위
- [유머] 집사를 혐오하는 고양이
- [유머] 오줌 싸는 박쥐 GIF
- [유머] 양궁계의 카리나 윈터
- [유머] 짐 수업에 나타난
- [유머] 한국 치안 좋다는 것도 옛말이네
- [유머] 스윗한 국가인원위원회 근황
- [유머] 이렇게 하면 널 가질 수 있을 거라 생각했어!
- [뉴스] 부산구치소 수감 중 20대 재소자 돌연 사망... 사인 밝혀졌다
- [뉴스] '15억 빚' 낸시랭, 알고 보니 '압구정 금수저' 출신... '엄마가 사업으로 돈 쓸어 담아' (영상)
- [뉴스] 선미, 워터밤 조회수로 권은비도 뛰어넘어... '나보다 男 댄서 보러 오더라' (영상)
- [뉴스] 르세라핌, K팝 걸그룹 최초로 美 '아메리카 갓 탤런트' 출연
- [뉴스] 신화 앤디 후덕해진 근황에... 김동완 '사업이 이렇게 힘들어'
- [뉴스] 'NCT WISH' 재희, 완벽한 라이브 무대로 '실력파 보컬' 인증
- [뉴스] 21살 때 '성폭행범 혀 깨물어' 유죄 받았던 최말자 할머니, 61년 만에 정당방위 인정 '무죄' 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