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297
전기차의 그늘 속, 다시 주목받는 하이브리드…토요타가 강한 이유
조회 247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5-08 17:25
전기차의 그늘 속, 다시 주목받는 하이브리드…토요타가 강한 이유

2020년대 초반까지의 자동차 업계는 전동화 흐름 속에서 배터리 전기차(BEV)에 방점을 두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단일 전동화 전략에 대한 회의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배터리 원자재 가격의 급등과 충전 인프라 구축 지연, 겨울철 주행거리 저하 문제 등 현실적인 한계가 노출되면서, 소비자와 제조사 모두가 하이브리드 모델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최근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흐름은 분명하다. 유럽연합(EU)은 2035년 내연기관 퇴출 정책의 유예 가능성을 언급하기 시작했고, 미국과 일본, 한국은 이미 하이브리드 중심의 다변화 전략으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는 단연 '하이브리드 기술의 원조' 토요타다. 특히 최근 출시된 렉서스 LX700h는 토요타의 하이브리드 전략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올해 국내 출시된 렉서스 LX700h는 혹독한 주행 조건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하이브리드 SUV다. 이 차량에 탑재된 파워트레인은 3.5리터 V6 트윈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단일 모터 기반의 파라렐(병렬형) 하이브리드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기존 LX600의 V35A-FTS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를 기본으로, 그 전단에 클러치와 최고출력 40kW, 최대토크 290Nm의 전기모터를 삽입한 구조다. 이 시스템은 앞에서부터 엔진 → 클러치 → 모터 → 토크컨버터 → 10단 변속기로 이어지는 순서로 배치되며, 하이브리드 방식으로는 '1모터 파라렐형'에 해당한다. 클러치를 해제하면 모터 단독 EV 주행이 가능하고, 회생제동도 구현된다.
특이한 점은 이 구조가 이미 북미에서 판매되는 픽업트럭 '툰드라'에 선행 적용되었다는 점이다. 즉, 혹독한 환경에서의 고출력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검증된 구조를 프리미엄 SUV인 LX700h에 맞게 재해석한 것이다. 특히 극저속 영역에서 모터와 토크컨버터를 활용한 토크 증폭 기능은 견인력과 험로 주행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LX700h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렉서스 최초로 알터네이터와 스타터가 동시에 탑재되었으며,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고장 나더라도 스타터로 엔진 시동이 가능하고, 알터네이터를 통해 12V 보조 배터리를 충전함으로써 내연기관만으로 주행을 지속할 수 있다. 이 역시 '어떤 상황에서도 주행가능한 하이브리드'라는 콘셉트를 강조하는 설계다.
주행용 배터리는 약 1.8kWh 용량의 니켈수소 방식으로, 화물공간 바닥에 위치한다. 배터리와 AC 인버터는 방수 처리된 트레이에 수납되어, 700mm 수준의 도하 능력을 보장한다. 이는 동급 내연기관 SUV와 동등한 수준이며, 실제 오프로드 환경을 고려한 설계라 평가할 수 있다.

토요타는 차량의 용도, 파워트레인의 레이아웃, 소비자 성향 등에 따라 다양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운영 중이다. 이 전략의 중심축은 여전히 토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 이다. 1997년 1세대 프리우스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진화한 이 시스템은 MG1(발전)과 MG2(구동)를 동력분할기어와 함께 조합해 고효율을 극대화하는 구조다.
2022년에 등장한 5세대 THS는 프리우스보다 먼저 노아/복시(Voxy)에 적용됐고, 이후 프리우스에도 탑재되었다. 이 시스템은 효율성과 정숙성, 고출력 대응 등 모든 면에서 진화했으며, 여전히 토요타 하이브리드 전략의 중심에 있다.
한편, 수직배치형 레이아웃이 필요한 고급 세단과 대형 SUV에는 '멀티스테이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렉서스 LS나 토요타 크라운 세단이 대표적인데, 여기서는 THS 기반 구조에 4단 자동변속기(유성기어 + 결합요소)를 추가하여 총 10단 변속 제어를 실현했다. 이는 저속에서의 토크 응답성과 고속에서의 효율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22년부터는 새로운 방향성의 하이브리드도 등장했다. '크라운 크로스오버'에 처음 적용된 '듀얼 부스트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1모터 파라렐 방식에 6단 AT를 결합한 구조다. 2.4리터 가솔린 터보(T24A-FTS) 엔진과 결합되며, 최고출력은 349마력에 달한다. 여기에 리어 액슬에도 전기모터를 더해 e-AWD 기능과 순간 부스트력을 제공한다. 연비보다는 가속 성능과 주행 감각에 중점을 둔 세팅으로, 새로운 프리미엄 하이브리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 토요타의 하이브리드 전략은 단일 플랫폼이나 구성에 머무르지 않고, 상황과 목적에 따라 유기적으로 설계를 바꿔가며 확장되고 있다. 단순히 연비만을 위한 기술이 아닌, 고성능, 내구성, 다용도성을 포함한 통합적인 파워트레인 전략으로 진화하고 있는 셈이다.
LX700h는 이 가운데에서도 가장 혹독한 환경, 즉 극한의 오프로드와 장거리 고부하 주행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차량으로, 전동화 시대의 SUV가 어떤 방식으로 진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모델이다.

토요타의 시스템이 이미 시장에서 신뢰를 구축한 반면, 현대차그룹은 다소 늦은 출발을 보였으나 최근 들어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 2024년 말 발표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1.6 터보 기반 직렬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함께 '고출력 통합형 드라이브 모듈(IDM)', '배터리와 인버터의 집적 최적화', '더 넓어진 EV 주행범위' 등을 내세운다.
현대차의 새로운 하이브리드 플랫폼은 단지 연비 향상을 위한 기술이 아닌, EV 시대의 과도기적 기술로서, 시스템 무게 저감과 전동 주행 거리의 증가라는 목표를 명확히 하고 있다. 특히 통합형 구동 시스템은 전기모터와 감속기, 인버터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공간 효율성과 동력 전달의 일관성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는 토요타의 다층적이고 입증된 기술체계와는 달리, EV 기반 기술을 하이브리드에 역설계(reverse engineering)한 방식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즉, 하이브리드에서 전기차로 향했던 과거의 흐름이, 이제는 EV 기술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재해석의 흐름으로 바뀌고 있는 셈이다.

전기차가 여전히 전동화의 궁극적 목표임은 분명하지만, 현재의 기술과 인프라, 그리고 소비자 니즈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하이브리드는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다. 토요타는 그 현실을 가장 일찍, 가장 치밀하게 준비한 제조사이며, 현대차그룹은 뒤늦게나마 빠른 추격에 나서고 있다.
'전기차냐 내연기관이냐'의 이분법을 넘어서, '상황에 맞는 전동화'라는 전략적 사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지금, 하이브리드는 그 정답에 가장 가까운 기술임에 틀림없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위라이드, 아부다비 로보택시 무인 운행 지역 확대…중동 첫 완전 무인 시범 서비스
[0] 2025-05-22 11:45 -
폴스타 3, BBC 탑기어 선정 '최고의 전기 SUV' 등 잇단 수상 쾌거
[0] 2025-05-22 11:45 -
하나라도 잘해 포르쉐ㆍ폭스바겐 CEO 겸직 '올리버 블룸' 불만 고조
[0] 2025-05-22 11:45 -
배운대로 청소하고 요리까지 척척 테슬라, 진화한 옵티머스 영상 공개
[0] 2025-05-22 11:45 -
‘BMW 엑설런스 라운지’...럭셔리 로드스터 '콘셉트 스카이탑’ 국내 공개
[0] 2025-05-22 11:45 -
짠돌이로 변한 미국 소비자들, 자동차 평균 수명 12.8년 돌파... 한국은?
[0] 2025-05-22 11:45 -
'만남의 공간으로 변신' 페라리, 새로운 딜러십 CI 반영 첫 전시장 오픈
[0] 2025-05-22 11:45 -
10년간 100kg 증가, 비만병에 걸린 자동차
[0] 2025-05-22 11:45 -
기아 EV3, 유로 NCAP 최고 등급 획득… 안전성·상품성 동시 입증
[0] 2025-05-22 11:45 -
포르쉐 전동화의 정점, 700마력 전기 스포츠카 ‘타이칸 GTS’ 국내 출시
[0] 2025-05-22 11: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비스테온-볼케이노 엔진, AI 기반 스마트 콕핏 솔루션 공개…차량 내 경험 혁신 예고
-
일렉트로비트-메톡,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혁신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 상하이 모터쇼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와 대규모 협력 계약
-
스트라드비젼-악세라, 자율주행 혁신 가속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의 품격, 가장 안락한 퍼스트클래스급 승차감을 제공한다
-
BYD, 1분기 순이익 두 배 증가…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
두 비즈니스맨의 관계에 균열이 시작되었다 – 트럼프와 머스크
-
[르포] 보이지 않는 곳에서 2억 불 수주를 향해 땀 흘리고 있는 현대모비스
-
화물 운송 마을택시 ㆍ수용응답형 전세버스... 운송 서비스 규제 확 풀린다
-
한국토요타, 모터스포츠 짜릿함 체험 '2025 보령·AMC 페스티벌’ 참가
-
마세라티, 순수 전기 '그란투리스모 폴고레' 국내 출시…풀 라인업 완성
-
사막을 달려야 트럭! 타타대우모빌리티 막시무스와 더쎈, 중동 시장 론칭
-
르노, 전동화 호조 1분기 판매량 6.5%↑... 한국, 그랑 콜레오스 효과로 선전
-
[김흥식 칼럼] 상하이오토쇼, BMW의 메인은 왜 자동차가 아니었을까?
-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 선임사외이사 도입… 이사회 독립성·투명성 강화
-
하만, 느끼고 생각하는 자동차...미래 커넥티드카 생태계 주도 Ready!
-
기아, 1분기 역대 최대 매출 경신… 10분기 연속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
[칼럼] 중국산 버스도 주는 보조금, 국산 준중형 전기 트럭은 왜 안 주나
-
SK온, 美 전기차 스타트업 '슬레이트' 배터리 공급...2도어 전기 픽업트럭에 탑재
-
닛산, 상하이 모터쇼에서 첫 PHEV 픽업 '프론티어 프로' 공개
- [유머] 세금도둑이 하는 일
- [유머] 19) 독일의 성문화
- [유머] 건설현장 화장실 문을 자꾸 뜯는...
- [유머] 제대로 선을 넘어버린 요즘 군대 근황
- [유머] 귀여운 물개
- [유머] 돌아버린 롯데리아 근황
- [유머] 극단적인 소녀
- [뉴스] '하반신 마비' 강원래, 의미심장한 글 올렸다... '나 없이 세상 잘돌아가, 사라지고 싶다'
- [뉴스] 이재명 48.1%·김문수 38.6%·이준석 9.4%... 양자대결 이재명 50.3% 김문수 43.5% [리얼미터]
- [뉴스] 진서연 '원래 '독전' 전라 노출이었다... 남편이 대본 보더니 '멋있다'며 적극 추천'
- [뉴스] '한국 디자인 유학생 1호'라는 100만 유튜버 밀라논나 '내가 출근 안하는 날 삼풍백화점 붕괴'
- [뉴스] '시동생과 불륜 저지른 아내, 시아버지와도 관계'... 이혼 전문 판사가 공개한 충격적인 사연
- [뉴스] 보육원에 꾸준히 기부했던 '62억 건물주' 기안84... 알고 보니 미담꾼이었다
- [뉴스] 박보영, 또 훈훈함 '미담' 전해졌다... 박진영 '내가 마련한 자린데, 계산 대신 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