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81BYD 블레이드 배터리, 혁신적 기술로 한계 극복... 안전과 원가 경쟁력 뛰어나
조회 187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4-15 14:25
BYD 블레이드 배터리, 혁신적 기술로 한계 극복... 안전과 원가 경쟁력 뛰어나
안전성, 공간 효율성, 수명 등 여러 측면에서 NCM 대비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BYD 블레이드 배터리. (오토헤럴드 DB)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BYD 코리아가 아토 3(ATTO 3)의 고객 인도를 시작했다. 지난 1월 국내 출시한 소형 전기 SUV '아토 3'는 사전 계약이 1000건을 돌파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아토 3가 주목을 받으면서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을 강타하고 있는 BYD의 LFP 배터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초기의 납축전지에서 시작해 니켈수소(NiMH)와 리튬이온(Li-ion)을 거쳐 현재는 니켈·코발트·망간(NCM)과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NCM 배터리는 뛰어난 에너지 밀도와 주행거리를 제공하지만, 가격이 높고 화재에 취약하며 원자재 공급 불안정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BYD가 전기차 시장에 뛰어들기 시작한 초기부터 주력한 LFP는 NCM 대비 안정성과 경제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반면,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를 늘리려면 더 큰 배터리 탑재가 필요하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돼 왔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가 못 침투 테스트를 하고 있는 장면이다. (오토헤럴드 DB)
BYD는 블레이드 배터리를 통해 LFP의 한계를 극복했다. 2020년 공개된 블레이드 배터리는 긴 칼날 형태로 열 관리 성능과 공간 효율성을 크게 개선했다. 셀투팩(Cell-to-Pack, CTP) 기술과 결합해 부피와 원가도 크게 줄였다. NCM과 비교하면 안전성, 공간 효율성, 수명 등 여러 측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는 매우 독특한 구조를 갖고 있다. 길고 얇은 형태의 셀을 칼날 형태로 배열해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셀 간 열 분산을 효율적으로 제어해 안전성을 강화했다. NCM보다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 화재 발생 우려나 화재시 열 폭주 등 안전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BYD가 공개적으로 실시한 못 침투 테스트에서 블레이드 배터리는 연기나 화재 없이 표면 온도가 30~60°C에 머물렀고 압축, 굽힘, 고온 가열, 과충전 등의 극한 조건에서도 화재나 폭발 없이 견딜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했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는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Yangwang)’의 전기 슈퍼카 U9에도 탑재된다. (오토헤럴드 DB)
BYD 블레이드 배터리는 특히 기존의 리튬인산철 블록 배터리와 비교해 배터리 팩의 공간 활용도를 50% 이상 증가시켰고 LFP의 화학구조를 기반으로 열적 안정성이 높고, 수명이 길며, 희귀 금속의 사용을 줄여 비용 대비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는 장점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로 BYD 블레이드 배터리는 전기차 시장에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BYD 배터리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 국산차 중에서도 KG 모빌리티와 기아, 도요타와 테슬라도 BYD 블레이드 배터리를 일부 모델에 탑재했다.
LFP는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 NCM 대비 불리한 측면이 있어 보급형 또는 상용차에 더 적합하다는 고정 관념을 깨며 다양한 세그먼트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BYD는 소형부터 대형,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Yangwang)’의 플래그십 SUV U8, 전기 슈퍼카 U9, 고급 브랜드 ‘덴자(DENZA)’의 MPV D9과 스포츠 세단 Z9GT 등 세그먼트와 차종을 가리지 않고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한다.
BYD 코리아가 아토 3에 이어 국내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씰(SEAL)을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하고 있다. (오토헤럴드 DB)
BYD 코리아가 아토 3에 이어 국내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BYD 씰(SEAL)은 브랜드 최초로 CTB(Cell-to-Body) 기술을 도입한 82.56kWh 용량의 BYD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충전 시 최대 520km(WLTP 기준)를 달리고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3.8초 만에 도달한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와 함께 안전성과 긴 수명, 저렴한 생산비를 앞세운 LFP가 주목을 받으면서 미국 포드와 GM, 유럽 스텔란티스 등 유수의 완성차 업체들도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전환의 핵심 축인 LFP가 이제는 가격 경쟁력에 더해 기술 혁신까지 겸비한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며 “친환경 모빌리티뿐 아니라 글로벌 에너지 저장 해법으로도 중심축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테슬라, 모델 3 롱레인지 무보증금 리스 출시
[0] 2025-04-29 17:25 -
지커, 첫 PHEV 플래그십 SUV '9X' 공개…BMW X7·GLS 겨냥
[0] 2025-04-29 15:25 -
현대차, 'ACT 엑스포 2025'서 북미 수소 물류시장 본격 공략
[0] 2025-04-29 15:25 -
중국 세레스, 상하이 모터쇼서 지능형 안전 생태계 공개…미래 자동차 안전 표준 제시
[0] 2025-04-29 15:25 -
비스테온-볼케이노 엔진, AI 기반 스마트 콕핏 솔루션 공개…차량 내 경험 혁신 예고
[0] 2025-04-29 15:25 -
일렉트로비트-메톡,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혁신 위해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0] 2025-04-29 15:25 -
중국 자율주행 스타트업 모멘타, 상하이 모터쇼서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와 대규모 협력 계약
[0] 2025-04-29 15:25 -
스트라드비젼-악세라, 자율주행 혁신 가속 위한 전략적 협력 체결
[0] 2025-04-29 15:25 -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의 품격, 가장 안락한 퍼스트클래스급 승차감을 제공한다
[0] 2025-04-29 15:25 -
BYD, 1분기 순이익 두 배 증가…전기차·하이브리드 판매 호조
[0] 2025-04-29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테슬라, 주가 225달러로 다시 하락
-
한자연, AI와 모빌리티 융합을 주제로 교류의 장 마련
-
BMW, ‘노이어 클라쎄’ 첫 모델 9월 공개... 시작은 ix3
-
BMW, 2024년 전기차 판매량에서 메르세데스-벤츠·아우디 합산 기록 넘어
-
한국수입자동차협회, 회원사로 BYD 신규 가입
-
중국 장청자동차, 호주시장에 하이브리드 SUV 하발 H6 GT 출시
-
아우디, 인력 감축과 더불어 내연기관 종료 재 검토
-
중국 샤오미EV, 2025년 35만대 인도 목표
-
현대차, 미국서 전기차 구매 고객에게 무료로 가정용 충전기 제공
-
현대오트론 인수 5년 만의 성과,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내재화 속도
-
'시동 키면 유니크한 애니메이션' 혼다, 골드윙 50주년 기념 에디션 출시
-
'JCW 최초의 순수전기차' 미니, 더 뉴 올 일렉트릭 JCW 2종 사전 예약
-
가짜 벽에 그대로 돌진... 카메라 센서 기반 테슬라 오토파일럿의 한계
-
현대차그룹, 디자인 경쟁력 입증 ‘2025 iF 디자인 어워드’ 총 26개 상 수상
-
왼발 브레이크 모드 '오히려 독' 아이오닉 5 N 제동 성능 저하로 리콜
-
한국타이어 후원, 2025 WRC 최고 난이도 오프로드 ‘사파리 랠리 케냐’ 개최
-
아우디, Q6 e-트론 출시... 100kWh 배터리로 주행거리와 충전효율성 향상
-
[EV 트렌드] '주유보다 빨라' BYD, 5분 충전 400km 달리는 전기차 공개
-
짐승 같은 차로 불렸던 르노의 핫 해치 '르노 5 터보' 순수 전기차로 부활
-
바스프, IOPLY 및 위라이온과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팩 개발 협력 체결
- [포토] 섹시 유부녀
- [포토] 아름다운 여인
- [포토] 섹시 뒤태
- [포토] 연에인 닮은 얼짱여
- [포토] 섹시 속옷
- [포토] 섹시미녀 뒷태
- [포토] 섹시미녀 노출팬티
- [유머] 연예인 이름 가로 세로해도 같은 이름
- [유머] 토스트 창업 이름 레전드
- [유머] 바닥도 개판이네
- [유머] 일본에서 실제로 판매 중인 인도인 완전 무시 카레
- [유머] 자기 컴퓨터 선 정리 한 거 자랑하는 레딧 유저
- [유머] 계곡 바베큐 대참사
- [유머] 유치원 졸업 현수막
- [뉴스] '미아동 마트 살인' 32세 김성진 신상 공개
- [뉴스] '박서준의 후원 덕분에 희망 생겼다'... 뇌종양 앓고 있는 어린이의 부모가 쓴 손편지
- [뉴스] 오는 5월12일 결혼하는 '배우 커플'... '행복하세요'
- [뉴스] 한국인이 만든 '이 애니메이션', 봉준호 '기생충' 꺾고 미국서 최고 흥행 영화 등극
- [뉴스] 여장한 뒤 전국 식당 돌며 '무전취식'한 50대 남, 검찰 송치
- [뉴스] 샘 해밍턴, 아들 윌리엄의 '폭풍선장' 근황 전했다... '중국서 열린 아이스하키 대회 참가'
- [뉴스] 한동훈 '죽을 각오로 싸워 이기겠다'... 김문수는 '다시 위대한 나라 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