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15[기자 수첩] 트럼프 관세, 美서 1000만 원 오른 '미국산 수입차' 사야 할 판
조회 102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3-31 22:25
[기자 수첩] 트럼프 관세, 美서 1000만 원 오른 '미국산 수입차' 사야 할 판
포드 F-150은 미국에서 생산하지만 부품의 55%를 수입해 조립하고 있는 '미국산'으로 분류하지 않는다. (오토헤럴드)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3일부터 모든 수입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트럼프는 '미국에서 제조한 차량에는 관세가 전혀 없을 것'이라며 '여러 기업이 미국에 공장을 짓게 될 것'이라며 관세 부과 의지를 꺾지 않았다.
관세 기준의 세분화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것이 없지만 트럼프의 관세로 미국 자동차 가격은 최대 1만 달러(약 1471만 원), 평균 4500달러(약 661만 원)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동차 관세가 결국 미국 소비자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라는 우려에도 '수입차 가격이 오르는 것에 전혀 신경을 쓰지 않는다'라고 일축했다.
그러나 최종 원산지를 'Made In USA'로 볼 수 있는 모델이 극소수에 불과한 만큼 트럼프가 기대하는 미국 브랜드의 판매 증가나 현지 생산 유입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지 소비자들까지 미국산으로 알고 있는 인기 차량 가운데 상당수는 현지에서 조립했지만, 수입차로 분류되는 모델들이 많다.
미국은 AALA(American Automobile Labeling Act) 제도로 미국산을 정의한다. 미국과 캐나다산 부품 사용 비율이 50% 이상이어야 하고 현지에서 최종 조립을 한 경우에만 미국산 자동차가 될 수 있다. 모든 자동차는 15% 이상 사용한 부품 원산지, 엔진과 트랜스미션(변속기)의 원산지를 표시한 AALA 라벨을 소비자가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곳에 부착해야 한다.
모든 자동차에 의무적으로 제공하는 미국 AALA 라벨에는 미국과 캐나다산 부품 사용 비율과 최종 조립지, 엔진과 변속기의 원산지가 표기돼 있다. (AALA)
예를 들어 캐딜락 CT4의 경우 미국에서 조립하지만, 캐나다와 미국산 부품을 15%밖에 사용하지 않아 미국산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생산하는 혼다 아큐라 ADX도 30%에 불과해 미국산으로 보지 않는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픽업트럭 포드 F-150도 55%의 부품을 수입해 조립한 수입차다.
영국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미국 현지 생산 비율 상위 8개 업체 목록 가운데 100% 미국산은 테슬라가 유일했다. 테슬라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량 100%를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고 부품의 60~70%를 미국에서 조달한다.
포드가 77%로 뒤를 이었고 스텔란티스, 닛산과 GM이 각각 57%, 52%로 절반을 넘었지만 문제는 이들 차량에 쓰인 부품 상당수가 캐나다와 멕시코산이라는 점이다. 현재 기준을 적용하면 미국산 수입차라는 얘기다.
도요타는 48%, 현대차-기아는 33%, 폭스바겐은 21% 수준이다. 현대차 기아는 작년 미국 시장에 판매한 자동차 가운데 33%를 현지에서 생산해 공급했고 캐나다와 멕시코 조립 물량이 8%, 그 외 지역에서 59%를 수입해 팔았다.
현지에서는 수입 비중이 높은 현대차와 기아의 관세 타격이 가장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면서도 포드와 GM, 스텔란티스 그리고 도요타와 닛산, 혼다, 폭스바겐 등도 현지 생산 차량의 부품 비율을 충족시키지 못한 수입차로 분류할 경우 미국 소비자들의 가격 인상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빅3가 트럼프 관세에 적극 반대하는 이유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기아, 1분기 사상 첫 77만대 돌파… 3월 27만 8058대 전년 대비 2.2%↑
[0] 2025-04-01 17:25 -
[2025 서울모빌리티쇼] 자동차 이상으로 빛날 부품기업들의 도전 현장
[0] 2025-04-01 15:25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MW 코리아, i4 M50·iX M70 국내 최초 공개
[0] 2025-04-01 15:25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YD코리아, 전동화 기술 리더십 과시 및 소통 강화
[0] 2025-04-01 15:25 -
현대차, 특별교통수단ㆍ셔클 플랫폼으로 화성시 교통약자 이동서비스 제공
[0] 2025-04-01 15:25 -
전기차스럽게,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부분변경... 5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0] 2025-04-01 15:25 -
기아, 전기차 대중화 전초기지 '광명 EVO Plant' 고객체험 공간 운영
[0] 2025-04-01 15:25 -
제네시스, 프리미엄 SUV 경쟁 열세... BMW 우세 속 벤츠와 3파전
[0] 2025-04-01 15:25 -
'도로 위 강렬한 존재감' 국내서 위장막 없이 포착된 기아 PV5
[0] 2025-04-01 15:25 -
르노코리아, 쿠페형 SUV '아르카나' 업그레이드…2300만 원부터 시작
[0] 2025-04-01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기아, 1분기 사상 첫 77만대 돌파… 3월 27만 8058대 전년 대비 2.2%↑
-
[2025 서울모빌리티쇼] 자동차 이상으로 빛날 부품기업들의 도전 현장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MW 코리아, i4 M50·iX M70 국내 최초 공개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YD코리아, 전동화 기술 리더십 과시 및 소통 강화
-
현대차, 특별교통수단ㆍ셔클 플랫폼으로 화성시 교통약자 이동서비스 제공
-
전기차스럽게,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부분변경... 5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
기아, 전기차 대중화 전초기지 '광명 EVO Plant' 고객체험 공간 운영
-
제네시스, 프리미엄 SUV 경쟁 열세... BMW 우세 속 벤츠와 3파전
-
'도로 위 강렬한 존재감' 국내서 위장막 없이 포착된 기아 PV5
-
르노코리아, 쿠페형 SUV '아르카나' 업그레이드…2300만 원부터 시작
-
혼다코리아, 경상도 일대 대형 산불 피해 현장 복구 성금 1억원 기부
-
현대차, 노사 합동 안전 브랜드 ‘바로제로’ 선포… “안전은 바로, 위험은 제로”
-
대한민국 자율주행 기술의 현재와 미래, 서울모빌리티쇼서 한자리에 모인다
-
[EV 트렌드] 테슬라, 올 1분기 '역대 최악' 실적 전망... 목표 달성도 실패
-
현대차, 채용 연계형 인터십... 재한 외국인 유학생 및 해외 이공계 박사 등
-
맥라렌, 순수 성능의 대명사 롱테일 출시 10주년 기념 ‘셀레브레이트 LT’ 진행
-
[기자 수첩] 트럼프 관세, 美서 1000만 원 오른 '미국산 수입차' 사야 할 판
-
자동차 디자인과 패션의 만남, 기아 ‘더 기아 EV4ㆍ무신사’ 콜라보 마케팅 실시
-
'격동의 시기 올드 멤버 소환' 볼보자동차, 하칸 사무엘손 CEO 재임명
-
상품성 높인 뉴 모델Y, 4월 2일 국내 출시… 테슬라 최초 한정판도 등장
- [유머] 흑인 혹은 한국인 머리색 지칭은 성희롱입니다
- [유머] 에드.. 워드.. 오빠...
- [유머] 혜자 도시락 신상 근황
- [유머] 즐거운 직장생활
- [유머] 겉절이 치킨
- [유머] 인형뽑기 빌런
- [유머] 하늘을 나는 마법새
- [뉴스] '커피 특공대' 자처한 충주맨... '산불'로 난리난 경북 안동 공무원들 울린 사연
- [뉴스] 청주 초등생들, '화산폭발 실험' 중 단체로 병원행... 현장에 무슨 일이?
- [뉴스] 대형 산불로 사망자 1명 더 늘어나... 이재민 3278명 대피소 생활
- [뉴스] 동덕여대 학생 10여명, '건조물 침입 혐의' 로 이번주 경찰 조사 시작
- [뉴스] '아내가 동기와 바람 나 '1호 불륜 부부' 됐어요'... 어느 사내 커플 남편의 하소연
- [뉴스] 지드래곤, 콘서트 뒤풀이서 '코'로 촛불 끄고 소주병 들고 춤 춰... 털털한 실제 모습
- [뉴스] 유명 야구선수 아내, 뒤늦게 학폭 가해자 들통... 결국 이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