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360유럽연합 2035년 내연기관 금지법, 독일 등의 반대로 최종 결정 난항
조회 3,642회 댓글 0건
![레벨3](images/test/l3.png)
머니맨
2023-03-06 11:25
유럽연합 2035년 내연기관 금지법, 독일 등의 반대로 최종 결정 난항
![](http://img.danawa.com/cp_images/service/33/5290866/ad065530.jpg)
2023년 2월 15일, 유럽연합은 2035년부터 모든 내년기관 신차의 판매를 금지하는 새로운 법안에 대해 승인했다. 유럽위원회는 또한 2030년 이후부터 시내 버스와 트럭의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목표를 제안했다. 그래서 유럽연합의 내연기관 승용차와 경상용차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기로 한 결정은 완료된 거래로 보였다.
그런데 이탈리아와 폴란드, 불가리아가 동의하지 않고 있거나 수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독일은 승인 철회를 요구하고 나서며 꼬이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2035년의 시한을 2040년으로 연기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다른 EU 국가들도 협정 수락을 수정하면서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요구의 핵심은 독일은 e퓨얼을 허용하라고 요구하고 있고 다른 나라들은 경상용차에 대해 100% CO2 저감을 90%로 줄이라는 것이다.
독일 교통디지털부 장관 폴커 비싱 (자유민주당 : FDP)은 이 결정에 대한 승인을 철회한다고 밝혔다. 그는 트위터를 통해 이미 최근에 e 퓨얼로 구동되는 무공해 승용차와 경상용차도 2035년 이후에 새로 등록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결과는 2023년 3월 1일로 예정됐다. 유럽의 내연기관 엔진의 단계적 폐지에 대한 최종 투표가 연기됐다. 독일은 사회민주당과 녹색당이 자유민주당과 연정을 구성하고 있다.
지금으로써는 독일과 이탈리, 폴란드, 불가리아 등 동의하지 않는 국가들이 거부하게 되면 EU 이사회에 자격을 갖춘 과반수가 되지 못해 법안은 거부된다.
당장에 이 이슈의 결정 여부에 대한 예상은 어려워 보인다. 독일은 자유민주당의 이런 강한 태도는 녹색당 등과 충돌이 예상되어 또 다른 복병이 등장해 있다. 독일 녹색당의 일부 당원들은 연정 해체를 요구하고 있기도 하다.
2030년까지 CO2를 55 % 줄이겠다는 중간 목표를 포함하는 EU 목표가 없으면 정부 연합은 특히 인센티브로 사용되는 전기차 구매 프리미엄을 삭감했기 때문에 독일 자체에서 더 많은 전기화를 계속 추진할 동력이 상실될 수 있다.
독일 미디어 데어 슈피겔(Der Spiegel)은 단계적 폐지는 정부 이니셔티브나 법률없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많은 자동차회사들이 이미 2025년 이전에도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며 이것은 낙관적 인 시나리오가 될 것이라고 봤다.
그러나 전기차가 CO2 배출량을 줄이는 데 가장 경제적인 선택이라며 만약 이를 거부할 경우 독일의 자동차 산업이 다른 유럽 국가나 다른 대형 시장에 뒤처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이는 브뤼셀의 지시 여부에 관계없이 단계적 폐지를 추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타협안은 새로운 승용차와 경 상용차의 CO2 배출량 저감을 100 %가 아니라 90 %로 제한하는 것이다. 이탈리아의 피아트와 알파로메오 포트폴리오에 전기차 라인업이 부족하기 때문에 비슷한 타협을 제안했다. 그럼에도 데어 슈피겔은 결국은 원안대로 유지되어 통과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참고> 유럽연합,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금지 법안 승인
(2023년 2월 16일, 글로벌오토뉴스)
유럽연합이 2023년 2월 15일, 2035년부터 모든 내년기관 신차의 판매를 금지하는 새로운 법안에 대해 승인했다. 한편, 유럽위원회는 또한 2030년 이후부터 시내 버스와 트럭의 CO2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목표를 제안했다.
2022년 승인되었지만 여전히 3월에 한 번 더 승인을 받아야 하는 내연기관차량에 관한 획기적인 법안은 유럽연합 내 27개국 블록 전체에서 모든 새로운 가솔린 및 디젤차의 판매를 공식적으로 금지한다. 로이터 통신은 이 최신 개정안은 2030년부터 판매되는 신차의 CO2 배출량이 이전 목표인 37.5%에 비해 2021년 대비 5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법이 중고 시장이 아닌 새 차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2034년에 구입한 새 내연기관 차량은 2035년 이후에도 여전히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자동차의 수명 주기가 약 10년에서 15년 정도라는 점을 감안할 때 기후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이는 좋은 소식이 아니다. 최종 계약에는 2036년까지 더 약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간 1만대 미만의 차량을 생산하는 소규모 자동차 제조업체를 위한 해결 방법도 포함된다.
지난 1년 동안 자동차 산업의 반발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는 이미 2033년부터 유럽에서 전기차만 생산할 계획인 폭스바겐을 비롯해 메르세데스 벤츠, 재규어, 벤틀리 등 전기화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또한 시내 버스와 장거리 트럭을 포함한 모든 새로운 대형 차량에 대해 더 강력한 CO2 배출 기준을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점진적으로 배출 제로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운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쪽으로 방향을 설정했다. 이 계획은 2030년부터 배출량을 45%, 2035년부터 65%, 2040년부터 90%로 감축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계획은 시내 버스에 대해 다소 공격적이어서 2030년까지 배출량 제로 기준을 요구한다.
대형차는 전체 EU 온실 가스의 6% 이상, 도로 운송에서 발생하는 모든 온실 가스 배출량의 25% 이상을 차지한다.
이와 관련 내연기관차 산업에 종사하는 수십만 명의 고용 손실 가능성과 전기 요금 인상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트럭 금지에 대한 재고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기차 포털 일렉트렉은 유럽 법률이 형식을 갖추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지루할 정도로 느리고 끝없는 논쟁과 수정이 필요하며 시간은 촉박하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새로운 제안이 추진된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며 유럽 소비자들은 준비가 되어 있다며 유럽은 전 세계 전기차 판매의 25%를 점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기 그리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여전히 수백만, 어쩌면 수십억 유로가 필요한 취약한 경제가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맥킨지의 연구에 따르면 이 비용은 2030년까지 2,400억 유로 이상으로 추산된다고 일렉트렉은 전했다. 공용 충전기의 경우 EU는 100km당 약 5개의 공용 충전기를 제공하며 유럽 교통 및 환경 연합(European Federation for Transport and Environment)은 2030년까지 대륙에 약 18억 유로가 필요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이는 EU 연간 유럽 도로 및 인프라 예산의 약 3% 수준임을 감안하면 아주 큰 것은 아니라고 한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최신글레벨3](images/test/l3.png)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자동차업계, AI 열풍 속 ‘필요 이상의 기능’ 남발… 진정 가치는 어디에?
[0] 2025-02-17 17:25 -
한국토요타자동차, 국립암센터에 8천만원 기부 및 '토요타 찾아가는 음악회' 개최
[0] 2025-02-17 17:25 -
저돌적 그리고 공격적으로 변신한 타스만, 기아 'UAE IDEX 2025' 참가
[0] 2025-02-17 14:25 -
푸조, 작년 전기차 2배 증가...올해 본격적인 성과 창출의 원년 될 것
[0] 2025-02-17 14:25 -
설원 질주, 도요타 가주 레이싱 월드 랠리팀 '2025 WRC 스웨덴 랠리’ 우승
[0] 2025-02-17 14:25 -
포르쉐보다 빨랐다! 샤오미 SU7 울트라 상하이 랩타입 신기록 달성
[0] 2025-02-17 14:25 -
현대차그룹, 사외 스타트업 발굴 2025년 ‘제로원 액셀러레이터’ 모집
[0] 2025-02-17 14:25 -
현대차그룹 대학생 사회공헌 교육봉사단 ‘H-점프스쿨’ 12기 발대식 개최
[0] 2025-02-17 14:25 -
렉서스, 어떤 길도 편안하고 품위있게 ‘디 올 뉴 LX 700h’ 사전 계약 실시
[0] 2025-02-17 14:25 -
[EV 트렌드] 세단도 해치백도 아닌 '혁신적 유선형' 기아 EV4 디자인 공개
[0] 2025-02-17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포르쉐코리아, 세계 벌의 날 기념 빌리브 인 드림 ‘비 사운드(Bee Sound)’ 임직원 체험 프로그램 진행
-
엔비디아 양자 컴퓨팅 플랫폼, 롤스로이스와 클래지큐의 양자 컴퓨팅 혁신에 사용된다
-
현대오토에버 ‘생명을 살리는 헌혈 캠페인’ 진행
-
BMW, 8세대 완전변경 5시리즈 6시간 뒤 완전공개 'i5 전세계 이목 집중'
-
푸조 CEO 린다 잭슨, 한국에서 방향성은 다른 글로벌 시장에도 후광 효과
-
폭스바겐, 3세대 부분변경 투아렉 유럽서 선공개 '확 바뀐 전후면 디자인'
-
중국 BAIC트럭 두 개 플랫폼 기반 트럭 공개
-
포드, 앞으로 2년 동안은 내연기관차 이익 증가할 것
-
e-퓨얼의 미래는 전혀 다른 곳에 있다.
-
중국 간펑 리튬, 1세대 전고체 배터리 양산 이어 2세대도 발표
-
256. 배터리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의 전쟁 (2)
-
중국 상하이차, 2025년 전고체 배터리 탑재한 모델 출시 예정
-
한자연, 일본 TIER Ⅳ와 개방형 SW플랫폼 기술 개발 위한 MOU체결
-
폴스타, 스웨디시 골드 디테일 경험 전기 수중익선 ‘칸델라 C-8 폴스타 에디션’ 공개
-
'궁극의 편안함 · 유니크한 스타일' 링컨 네비게이터 블랙 레이블 출시
-
KG 모빌리티 SUV 풀 라인업 폼 미쳤다. 여행과 캠핑을 위한 최적 옵션
-
한국타이어, 금호석유화학과 친환경 타이어 개발 위한 MOU 체결
-
랑세스, 2023년 1분기 실적 전망치 달성
-
이스즈, 2023 순회점검 서비스·연비왕 대회 진행
-
앨리슨 트랜스미션, 스웨덴 소방구조 박람회 참가…자동변속기 우수성 선봬
- [유머] 회사 구내식당 4,000원 호불호
- [유머] 돼지 농장에서 종종 뼈다귀가 발견되는 이유 ㄷㄷ
- [유머] 연봉이 1억인 정원사의 솜씨
- [유머] 1년과 맞 바꾼 1800만원
- [유머] 해외에서 논란 터진 펩시 제로
- [유머] 한국의사들이 투덜대는 의료소송 팩트체크
- [유머] 위험한 아마존
- [뉴스] 손연재, 아들 첫 돌 맞아 세브란스 병원에 1억원 기부
- [뉴스] 군대 간 황민현, 일냈다... '스터디그룹' 입소문 만으로 티빙 유료가입기여자수 3주 연속 1위
- [뉴스] 전동킥보드 통행금지 구역 생길까... 서울시의회 조례안 발의
- [뉴스] 서울시, 배달·택배기사 병원 입원 시 하루 '9만 4000원' 지원해준다
- [뉴스] '유퀴즈' 출연한 정신과 교수 '재기 기회 없이 매장시키는 사회, 오징어 게임 같아'
- [뉴스] '먼저 죽은 전우들의 몫까지 살겠다'... 99세 맞은 6·25 참전용사
- [뉴스] ♥김지민에게 프러포즈하면서 '금연' 약속했던 김준호... '난 쓰레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