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05[칼럼] 전기차 '과충전 그리고 충전량 제어'에 대한 비난은 누구의 압력인가
조회 3,869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9-09 11:45
[칼럼] 전기차 '과충전 그리고 충전량 제어'에 대한 비난은 누구의 압력인가
[오토헤럴드 김필수 칼럼] 정부가 전기차 화재에 대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인천 전기차 화재 이후 지난 한 달 동안 수많은 대책이 쏟아져 나왔고 이번 정부 정책에 반영이 됐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인 BMS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한 경고 앱, 배터리 인증제 조기 도입, 검사기준 강화, 과충전 예방과 충전제어를 위한 스마트 제어 완속 충전기 보급도 정책에 포함됐다.
이미 보급된 완속 충전기에 매년 일부분씩 충전제어 기능을 포함한 완속 충전기 교체로 전기차 화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대책도 나왔다. 지하공간 스프링 쿨러 시설과 진압시설의 강화, 무선 소형소방차 도입, 근본적으로 화재를 예방하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 노력 등 부처별 융합형 대책이 망라됐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도 이번 종합대책에 아쉬운 것들이 있다. 바로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불안감을 직접 해소할 수 있는 부분이 미흡했다는 점이다. 현재 전기차 포비아는 폐쇄공간의 화재를 막는 확실히 믿을 수 있는 대책이 중요했다. 향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다.
먼저 '과충전'이라는 용어와 '충전제어'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살펴봐야 한다. 이번 정부 대책에서는 이러한 용어가 금기시하다시피 했다. 이유는 무엇일까? 과충전, 충전 제어는 전기차 화재와 관련해 전문가들 사이에 항상 지적됐던 용어이고 전기차 화재를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의미가 담겨있다.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공포를 줄이는 핵심이기도 하다.
지하공간 전기차 화재를 직접 낮출 수 있는 한시적 개념의 직접적인 방법이 바로 '충전제어'다. 현재 전국 아파트를 비롯한 곳곳에 설치된 약 31만 기의 완속 충전기는 정부에서 언급하는 충전제어 기능이 전무하다.
이번 사고로 지하 충전소에서 강제적으로 충전량을 제어하고 싶어도 할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됐고 그래서 등장한 것이 차주들이 지하공간 충전량을 자발적으로 낮추도록 유도하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조언에 대해 명예훼손이나 허위사실 유포와 다르지 않은 무차별 공격을 받고 있다.
충전율 하락으로 주행거리가 줄어드는 것을 염려하는 완성차 업계가 주도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상황을 그대로 두면 더욱 아파트마다 막연한 불안감으로 더욱 주차 금지와 충전금지라는 불안감이 더욱 증폭될 수도 있다.
충전량 제어는 출구전략이고 전기차 포비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한 것이다. 실제로 이 방법을 정부나 지자체, 아파트 등이 도입하는 것은 자유이고 일시적인 해결 방법을 언급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완성차나 전기 차주들이 걱정하는 항구적인 제한이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완속 충전기의 제어기능을 위해 정부가 내놓은 '스마트 제어 완속 충전기' 보급과 이미 설치한 완속 충전기 교체 작업도 중요하다. 문제는 내년 약 2만기, 내 후년 3만기를 교체해도 충전 제어 기능이 없는 25만기 이상 충전기는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 입주자들의 불안감은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이런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이 없다. 그 이전 앵무새처럼 과충전, 충전 제어를 언급했던 사람들도 압력을 받아서인지 모두 입을 닫았다.
어떤 압력이나 사주를 받지 말고 양심상 분야별 전문가가 제대도 된 의견 표명을 해야 한다. 원칙과 진리를 외면하고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수 있다는 착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 혹시라도 지하 공간에서 유사한 대형 사고가 또 발생하면 누가 책임질 것인가?
전기차 화재 원인 중의 하나인 배터리셀 3D 전수검사를 통한 인증제 도입도 필요하다. 국내 배터리 3사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일부는 이에 대한 대비를 끝낸 것으로 알고 있다. 전기차 안전교육도 필요하다. 과속방지턱에서 바닥을 긁지 말라거나 침수 도로 회피, 젖은 손 충전하지 않기,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비상 대피 매뉴얼 등 다양한 교육이 절실하다.
전기차 화재가 내연기관차 대비 낮다는 주장도 노후 전기차가 많아지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전기차는 무리하고 거친 운행이 반복되고 노후화하면 배터리셀 등의 불량을 유발하고 화재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화재의 책임을 전기차주가 질 수도 있다.
하지만 과충전, 충전 제어 필요성 지적 이후 근거 없는 공격에 시달리고 있다. 일부 채널은 노이즈 마케팅으로 조회 수를 높이기도 한다. 공공의 이익과 국가 발전을 위해 모빌리티 분야에서 수십 년간 살아온 입장에서 보면 황당하고 섭섭한 일이다.
동시에 정부의 종합대책을 지지하고 앞으로도 확실한 자신감과 확실한 의지를 갖고 누구의 눈치를 보지 말고 보완하기를 바란다.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거두고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활성화하는 때가 오기를 바란다.
김필수 교수/[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EV9 GT를 가볍게 제친 파워트레인' 니오, 3열 전기 SUV 온보 L90
[0] 2025-04-22 17:25 -
제네시스 그란 컨버터블의 디자인
[0] 2025-04-22 15:25 -
[영상] 과소평가된 전기차의 귀환, 제네시스 GV60 부분변경
[0] 2025-04-22 15:25 -
[시승기] '모터 하나로 완전히 다른 차' 현대차 팰리세이드 2.5 터보 하이브리드
[0] 2025-04-22 15:25 -
BMW, 총 230대 전기차 투입 차별화된 시승 멤버십 'BMW BEV 멤버십' 론칭
[0] 2025-04-22 15:25 -
[EV 트렌드] '미니밴계 롤스로이스' 지커, 009 그랜드 콜렉터 에디션 공개
[0] 2025-04-22 15:25 -
F1 레전드 아일톤 세나와 로터스 97T 포르투갈 그랑프리 우승 40주년 기념
[0] 2025-04-22 15:25 -
현대차그룹, 코레일과 역세권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스마트 시티' 조성
[0] 2025-04-22 15:25 -
'실용성과 편의성 향상' 기아, The 2025 봉고 Ⅲ EV 출시
[0] 2025-04-22 15:25 -
5분 충전에 520km 주행 가능, 中 CATL '2세대 선싱' 배터리 공개
[0] 2025-04-22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요타, 생성형 AI활용해 안전성 개선한다
-
중국 BYD, 덴자 100% 자회사화
-
중국 전기차 스타트업 네타, 멕시코 시장 진출한다
-
폭스바겐, 중국 공장도 폐쇄 준비
-
중국 BYD의 저가 전기차 시걸 EV, 8월 중국 전기차 판매 1위
-
2024년 상반기 풍력 터빈 주문 23% 증가 최고치 갱신
-
한국타이어 모델솔루션, AI 모빌리티 기업 하이코어와 양해각서 체결
-
혼다코리아, ‘GB350C’ 온라인 사전 예약 실시
-
KGM, 2024년 해외대리점 대회 개최
-
한국타이어 독점 공급 내구레이스 ‘한국 24시 바르셀로나’ 개최
-
르노코리아, 총 26회 최다 구매 고객 ‘뉴 그랑 콜레오스 E-Tech 하이브리드’ 인도식
-
현대차·기아, 2024 IDEA 디자인 어워드 '싹쓸이' 금상 3개 포함 총 12개 수상
-
싱가포르 순방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택, 현대차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 5'
-
매력적인 세단, 2025 기아 K8 2.5 가솔린 시승기
-
[영상] 예견된 변화, 전기차 전략 수정의 필요성과 방향성
-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의 디자인
-
폭스바겐코리아, 전기차 특별 무상 안전점검 시행
-
기아 · 포티투닷 · 지오탭 협업, 2025년 양산하는 'PV5' 차량관제 시스템 탑재
-
랜드로버 디스커버리 '올해로 출시 35년'… 24년형 모델로 존재감 이어
-
아우디, 2025년 말까지 연중 상시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 무상 안전점검 실시
- [유머] 한번 속여 팔면 9만원
- [유머] 뚜껑 열린 미친 차주
- [유머] 박제된 불륜남
- [유머] 발 사이즈 410인 14살 미국 학생
- [유머] 돌잡이 하다 와이프한테 혼남
- [유머] 바티칸에서 목숨이 위험했던 주교님
- [유머] 3만년전의 늑대
- [뉴스] 국힘 경선 2차 컷오프 발표... 나경원 등 4명 탈락
- [뉴스] 'BTS 뷔 닮은 훈남 비주얼'.... '아빠어디가' 류진 아들 찬호의 '폭풍성장' 근황
- [뉴스] '시작부터 끝까지 혼자서 무대 채웠다'... 데뷔 후 첫 단독 팬미팅 한 김태리, 비하인드 컷 공개
- [뉴스] 쥬얼리 출신 조민아, 전국 1등 보험왕 됐다...'오래 하는 사람이 잘한다'
- [뉴스] 불 타버린 '봉천동 아파트'... 방화범 찾았지만 아직 풀리지 않은 의문 3
- [뉴스] 파면 후 일주일만에 '수돗물 228t' 쓴 尹... '관저에 수영장 있다더라'
- [뉴스] '승차 거부 손님' 매달고 40m 주행한 택시 기사... 법원 '징역 8개월' 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