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69[시승기] 3040세대 노리는 5세대 프리우스, 눈에 띄게 강해지고 젊어졌다
조회 4,33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12-18 11:25
[시승기] 3040세대 노리는 5세대 프리우스 '눈에 띄게 강해지고 젊어졌다'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도요타가 경쟁사와 다른 점은 뚜렷한 신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는 길이 옳다고 판단하면 주변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묵묵히 밀고 나간다. 도요타라서 가능한 일, 전기차 대세론에 굴하지 않고 하이브리드를 고집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도요타는 하이브리드카 효율성이 아직은 전기차보다 높다는 확신을 갖고 있다. 그래서 때가 올 때까지 하이브리드 생산을 이어가겠다는 점을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분명히 했다. 완전 전동화 전환 시기가 올 때까지 하이브리드로 공백을 메꾸고 속도를 조절한다는 것이 도요타 전략이다.
그렇다고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도요타는 지난 10월 열린 '2023 저팬 모빌리티 쇼'에 전기 콘셉트 FT-3e와 FT-Se 2를 공개해 주목을 받았다. 서두르지 않을 뿐, 도요타도 차분하게 전동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경쟁사들이 전기차 라인업을 늘려 나가는 사이 도요타는 하이브리드카 효율성을 높이는 일에 주력했다. 동시에 약점으로 지적을 받아왔던 주행 성능을 꾸준히 개선했다. 도요타 2세대 TNGA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5세대 신형 프리우스가 그걸 말해준다.
한눈에 반하는 디자인 '젊어졌다'
초기 프리우스 외관 디자인은 어디서도 좋은 소리를 듣지 못했다. 도무지 특별할 것을 찾아볼 수 없는 평범한 외관 때문에 북미, 유럽 그리고 일본의 택시나 은퇴자들이 저렴한 유지비의 장점을 누리면서 모나지 않게 타는 그런 차로 인식이 됐다.
지난해 11월 정식으로 공개된 5세대 프리우스는 다르다. 도요타가 '한눈에 반하는 디자인'을 컨셉으로 개발한 신형 프리우스는 낮은 전고와 스포티한 실루엣으로 외관을 꾸몄다. 전면에서 루프를 타고 완만한 경사로 후면까지 이어지는 라인과 차량 후방으로 이동한 루프 피크로 실루엣을 완성했다. 루프 피크를 뒤로 뺀 건 공력 성능에 얽매이지 않고 스포티한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해서다.
후드와 측면 캐릭터 라인을 과감하게 없애 차체 표면을 단순하면서도 시원스럽게 디자인한 것도 새롭다. 전면부는 슬림한 조명, 후면은 좌우를 수평으로 연결한 테일램프로 간결하면서도 고급스러운 감성을 강조했다.
자세히 보면 타이어 사이즈가 독특하다. 19인치 타이어 단면의 폭이 195, 편평비는 50R로 표시됐다. 19인치 타이어 단면 대부분은 235~245mm 범위에 있다. 이런 부조화에 대해 도요타는 연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폭이 좁은 타이어를 특별 제작했다고 설명했다.
실내는 이전 세대의 낡은 것들을 과감하게 배제하고 트랜드에 충실했다. 운전대 너머 탑 마운트 계기반 그리고 12.3인치 터치스크린으로 첨단 분위기를 살렸다. 엠비언트 라이트, 센터 콘솔에 위치한 기어 레버, 그 주변에 드라이브 모드와 EV, HEV 등 전환 버튼이 자리를 잡았다.
12.3인치 터치스크린에는 LG유플러스 U+Drive를 기반으로 하는 인포테인먼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도요타 커넥트, 안드로이드 오토 및 애플 카플레이(무선) 연결이 가능하다. 화면의 구성이 간결하고 터치에 반응하는 속도도 만족스럽다. 공조 기능은 스크린 바로 아래 버튼으로 작동한다.
스티어링 휠 구경을 줄여 계기반 시야를 확보하고 A 필러와 윈드 실드가 맞닿은 부분을 투톤으로 처리해 빛 반사를 막고 대형 쿼터 글라스로 사각지대를 줄인 것도 세심한 배려로 보인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디지털 룸미러가 제공된다.
아쉬운 것들도 있다. 스마트폰 무선 충전 패드가 없고 2세대 TNGA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했는데도 2열 공간은 여전히 비좁았다. 바닥이 꽤 낮아진 탓에 1열 시트 아래로 발이 들어가지 않아 장시간 탑승이 불편했다. 트렁크 바닥을 들춰내면 드러나는 흰색 스티로폼도 차량 가격에 어울리지 않는 소재로 보였다.
마음을 사로잡는 주행 '배기량 높였다.'
시승은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를 번갈아 가며 각각 편도 약 50km 남짓한 거리를 달리는 코스에서 진행됐다. 두 차량 모두 1.8ℓ 가솔린 엔진을 2.0ℓ로 업그레이드했다.
하이브리드 시스템 총출력은 144kW(196PS), 가속력은(0~100km/h) 7.5초, 연비는 20.9㎞/ℓ 성능을 발휘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 총출력은 164kW(223PS), 가속력은(0~100km/h) 6.7초, 연비는 19.4km/ℓ, 전기 모드로 64km 주행이 가능하다.
전기모드로 꽤 긴 거리를 달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일반적인 순수 전기차와 주행 질감이 다르지 않다. 모터의 회전 소리가 낮게 들리고 감속할 때 나타나는 회생 제동의 질감도 비슷하다. 주목할 것은 주행 거리다. 하루 출퇴근 거리(40km)는 전기차로 사용할 수 있는 셈이 된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순수 전기 모드, 하이브리드 모드, 엔진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모드 선택이 가능하다. 각각의 모드 주행 질감에 뚜렷한 차이가 나고 그때마다 스포츠 모드의 변별력이 뚜렷해지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도요타가 신형 프리우스에서 가장 많이 신경을 쓴 부분은 주행 성능이다. 배기량을 높이고 가속력을 끌어 올린 이유이기도 하다. 우선 엔진음이 인상적이다. 발진과 가속에서 모터의 개입이 따르는 차종의 특성에도 전기 모드가 아닌 때 엔진음이 박력 있게 고르게 상승한다. 빠른 페달 반응과 함께 기분 좋은 가속감을 느끼게 한다.
프런트의 횡 굽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디 강성을 높인 효과도 분명했다. 와인딩 구간에서 거칠게 몰아붙여도 차체 균형이 무너지는 일도 없다. 과속방지턱, 고르지 못한 노면 그리고 코너에서 전륜 맥퍼슨 스트럿, 후륜 더블 위시본 세팅이 잘 돼 있다는 것도 체감할 수 있었다.
그러나 브레이크 성능을 대폭 개선했다는 설명에도 제동은 거친 특성을 보여줬다. 저 중속 영역의 엔진음이 고속에서는 고르지 않게 신경질적으로 변했다.
역시 가장 마음에 든 건 연비였다. 엔진 배기량 업그레이드로 이전 세대와 수치 변화가 있기는 해도 하이브리드 모델 연비는 23km/ℓ,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21km/ℓ를 찍었다. 특히 하이브리드 모델은 코스를 놓치면서 시간에 맞추기 위해 꽤 빠르게 달렸는데도 인증 연비를 넘겼다. 이날 시승에서는 30km/ℓ를 찍은 운전자도 있었다.
[총평] 신형 프리우스는 하이브리드 3990만원(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4630만원(SE)부터 시작한다. 상위 트림으로 가면 각각 4370만원(하이브리드 XLE), 4990만원(플러그인 하이브리드 XSE)이다. 성능이 고만고만하고 사양에서 조금 우세한 동급 국산 경쟁차보다 조금 비싸다. 그럼에도 사전 계약 대수 700대를 기록했다.
전기차가 정체기에 들어섰다는 분석과 함께 요즘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진 효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수입차 시장은 순수 내연기관 점유율을 위협할 정도로 하이브리드 모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도요타는 이런 추세에 맞춰 프리우스가 택시나 노인 세대가 아닌 30~40대를 주요 타깃으로 공략하고 있다. 외관과 실내 디자인과 구성 무엇보다 주행 감성으로 보면 의외로 좋은 반응을 기대해도 좋을 듯하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영상] 완벽한 뉴 페이스, 테슬라 뉴 모델 Y 런치 시리즈
[0] 2025-04-07 17:25 -
기아-고용노동부-오토큐, 전기차 정비인력 양성 위한 MOU 체결
[0] 2025-04-07 17:25 -
기아-고용노동부-오토큐, 전기차 전문 정비인력 양성을 위한 MOU
[0] 2025-04-07 17:25 -
가와사키, 말처럼 달리고 도약하는 로봇 '코를레오' 공개... 2050년 상용화
[0] 2025-04-07 17:25 -
당한 것도 억울한데...보험사기 피해자 부당 할증 보험료 16억 환급
[0] 2025-04-07 15:25 -
현대차 · 제네시스, 무지막지한 관세에도 6월 2일까지 美 가격 동결 선언
[0] 2025-04-07 15:25 -
기아 EV6 12V 배터리 1년 만에 3번 교체...뿔난 소비자 레몬법 소송 제기
[0] 2025-04-07 15:25 -
현대모비스, 세계 최대시장으로 부상한 인도에 통합 R&D 센터 구축
[0] 2025-04-07 15:25 -
유럽 심장부를 향해 돌격한 'KGM 액티언', 자동차 원조국 독일 첫 진출
[0] 2025-04-07 15:25 -
트럼프의 새빨간 거짓말 “상호 관세, 미국에 전례 없는 자동차 공장 건설”
[0] 2025-04-07 15: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기아 역대 최대 수출 기록
-
KG 모빌리티, 10억 불 수출탑 수상 및 정용원 대표ㆍ선목래 위원장 포상
-
[EV 트렌드] BMW, 고성능 전기차는 있지만 iM3는 절대 없다
-
현대차그룹, 올해 이동약자 이동권 증진 위해 총 12억 원 규모 모빌리티 지원
-
현대차 300억불ㆍ기아 200억불 '수출의 탑' 각각 수상...최대 수출 실적 경신
-
현대모비스, ‘의왕 전동화 연구동’ 설립...글로벌 전동화 시장 확대 선제 대응
-
'하이브리드, 순수 내연기관 제쳤다' 수입차 11월 12.3%↓, 5개월 연속 감소
-
기아 EV6 부분변경 테스트 돌입 '내ㆍ외관 대대적 변경' 내년 중반 출시 예정
-
폭스바겐, 중국 허페이 허브의 현지화 속도 높인다.
-
혼다영국법인, BEV e:Ny1를 HEV HR-V와 같은 가격으로 판매한다
-
볼보, EX90 2024년 상반기 미국에서 생산 개시
-
BMW iX, 차세대 배터리 탑재해 주행거리 978km 달성
-
테슬라 모델3, 미국 시장에서 2024년부터 IRA 세액공제 반감된다
-
“중국, 50% 신에너지차 판매 목표 10년 앞 당겨 달성 가능”
-
[영상] 1억원의 가치, 제네시스 GV80 쿠페 가솔린 3.5 터보
-
[EV 트렌드] 테슬라 의문의 1패, '형편없는 중고차 가격'에 렌트카 퇴출...BYD 제외
-
'위기의 신호?' 테슬라, 11월 中 판매 전년비 18% 감소한 8만 2432대 기록
-
포르쉐 911 카레라, e퓨얼로 해발 6734m 정복...최고도 등정 세계 신기록
-
토요타, 2026년 유럽시장 전기차 비율 20%로 높인다.
-
볼보 EX30, 미국 파퓰러 사이언스 ‘2023년 최고의 혁신 50가지’에 선정
- [포토] 섹시 몸매
- [포토] 블래과 레드의 양상볼1
- [포토] 노팬티
- [포토] 팬티 내린여자
- [포토] 야외 노출
- [포토] 판타스틱 베이비1
- [포토] 마트 알바생 하의실종
- [유머] 개그맨 김준호가 후배 김지민에게 이성적인 감정을 느낀 순간.jpg
- [유머] 남자라면 못참는 것
- [유머] 미국 병원의 창조경제
- [유머] 거울 너머
- [유머] 약한모습의 오타니를그려줘
- [유머] 지브리 사진 일침좌
- [유머] 일본의 재미있는 돌 수집가
- [뉴스] 한 대행, 마은혁 헌재 재판관 임명...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지명
- [뉴스] 초면인데 '이거 사달라' 당당하게 요구한 진상 아줌마에 홍석천이 내놓은 '센스 답변'
- [뉴스] '위고비' 맞고 리즈시절로 복귀 중... 빠니보틀, 요즘 몸 상태 이렇습니다
- [뉴스] 김국진, 모친상 비보... 아내 강수지와 슬픔 속 빈소 지켜
- [뉴스] 이승기, 후크 상대 정산금 소송 승소... 판결문에는 '10년 이상 미정산, 고의성 인정'
- [뉴스] '암투병 고백' 이솔이, 치과서 잇몸 절제까지... '병원 투어 중'
- [뉴스] '돌싱' 오정연 '당장 출산할 준비 돼 있다... 유산율 낮은 아파트에 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