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428전고체 배터리를 포함한 토요타의 EV 배터리 로드맵
조회 4,03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11-29 16:45
전고체 배터리를 포함한 토요타의 EV 배터리 로드맵

토요타는 2022년 2년 연속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은 자동차를 판매한 제조사에 올랐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개척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차에 대한 내부적인 회의론으로 인해, 전기차 개발에 속도를 높이지 못했다. 토요타 bZ4X, 렉서스 RZ450e 등 뒤늦게 전기차를 선보이고 있지만,EV 분야에 진출한 마지막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 중 하나이다.
하지만, 새로운 CEO, 사토 고지가 취임한 이후, 토요타는 새로운 모델과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로 경쟁사를 따라잡겠다는 목표로 전기차에 대한 의지를 강화했다.
첫 번째 새로운 EV 중 하나는 2025년부터 켄터키주에 위치한 토요타의 조지타운 공장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3열 전기 SUV로 기아 EV9과 경쟁하는 모델이다. 토요타는 새로운 전기 SUV 생산을 통해 조지타운 공장의 고용인원을 5000명으로 늘릴 예정이다. 또한, 차세대 전기차에는 노스캐롤라이나주 리버티에 있는 자체 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사용할 예정이다.

2030년까지 토요타는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매년 30GWh의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80.0kWh 팩 375,000개로 전기파 생산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으로, 10개 라인으로 분할해 EV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크기의 팩을 생산할 계획이다. 하이브리드 모델을 위한 4개의 생산라인이 별도로 운영되며, 2030년 즈음에는 토요타의 라인업이 모두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할 것으로 보인다.
토요타는 2030년까지 토요타와 렉서스 브랜드 전반에 걸쳐 30개의 다양한 모델을 포함해 연간 350만 대의 EV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당수의 제품이 미국 현지에서 생산될 예정이다.
토요타는 배터리 기술 향상도 추진 중이다. 첫 번째 진화는 올해 도쿄 모터쇼에서 선보인 토요타 FT-Se와 렉서스 LF-ZC 컨셉을 통해 공개한 내용으로, 높이를 크게 낮춘 초소형 고성능 차세대 리튬 이온 배터리 양산이다. 크리를 줄여 쿠페와 세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로, 토요타의 엔지니어들은 배터리 팩의 높이가 3.9인치에 불과할 것이라고 전했다. 크기를 줄여 차량의 하부가 아닌 측면에 탑재해 공간 활용성을 더 높인다는 계획이다.

더 저렴하고 공간 효율적인 배터리
새로운 고성능 배터리 팩은 2026년에 처음 사용될 예정이며, 토요타는 bZ4X의 배터리팩보다 생산 비용이 20% 저렴할 뿐만 아니라 약 20분 충전으로 80%까지 충전이 가능한 성능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장 큰 배터리 용량의 팩은 400마일, 약 640km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저가형 모델을 대상으로 한 리튬-인산철-인산염 배터리(LFP) 배터리는 소재 개선과 혁신적인 양극 내부 설계를 통해 가격과 성능 모두 충족시키는 차세대 배터리팩을 출시할 예정이다. 기존의 단극 배터리는 별도의 음극과 양극 소재를 사용하는 반면, 특수 설계된 모듈애 음극과 양극을 결합해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를 높였다. 토요타는 이 첫 번째 바이폴라 팩이 bX4X 배터리보다 40% 저렴하고 약 30분의 고속 충전 속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약 500km의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7년에는 고성능 양극 팩이 출시되어 리튬 이온 과 고니켈 음극으로 다시 전환될 예정이며, 토요타는 이 팩이 궁극적으로 약 830km의 주행거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고성능 배터리보다 10% 저렴하며, 최상의 조건에서 10~80% 재충전 시간은 20분에 불과하다고 전했다.

최종 목표는 전고체 배터리
그 외에도 토요타는 빠르면 2027년에 전고체 배터리를 도입할 계획을 밝혔지만, 출시 시기는 기존 목표보다 늦어진 상황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이 아닌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고전압과 온도에 대한 내성을 높이고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며 무게를 줄인 배터리다. 하지만, 복잡한 구조와 높은 비용, 장기적으로 내구성이 낮다는 점을 해결해야 한다. 토요타는 자사의 1세대 전고체 배터리가 약 830km의 주행 거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1,000km 주행이 가능한 배터리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토요타가 이러한 목표를 이행해 나간다면, 비록 지금은 후발 주자지만 다시 시장을 선도하기 충분한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30년까지 30개 차종의 다양한 토요타 및 렉서스 모델 라인업에 걸쳐 연간 350만 대의 EV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만큼, 앞으로의 행보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고성능 럭셔리 로드스터 라인업 강화' 벤츠 AMG SL 43 신규 트림 출시
[0] 2025-02-21 18:00 -
[스파이샷] 기아, EV3 GT 개발 중...2026년 출시 예정
[0] 2025-02-21 17:45 -
실리콘 음극, 차세대 배터리 혁신 이끌까? GM·메르세데스 등 도입 추진
[0] 2025-02-21 17:45 -
타타대우모빌리티,에이엠특장과 ‘준중형 전기 청소차 개발’MOU
[0] 2025-02-21 17:45 -
볼보자동차, ‘슈퍼셋 테크 스택’ 기반 볼보 ES90 주요 기술 공개
[0] 2025-02-21 13:00 -
앨리슨 트랜스미션, 아탁 탈라스 아태지역 영업 총괄 승진 임명
[0] 2025-02-21 13:00 -
한국타이어, 2025년 신년 간담회 개최
[0] 2025-02-21 13:00 -
GS글로벌, BYD 1톤 전기트럭 T4K 리스 상품 출시
[0] 2025-02-21 13:00 -
뉴 MINI 컨트리맨, 한국자동차기자협회 ‘2025년 올해의 디자인’ 부문 선정
[0] 2025-02-21 13:00 -
KGM, 첫 번째 HEV 모델 ‘토레스 하이브리드’ 기대감 고조
[0] 2025-02-21 13:00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의도치 않게 작동되는 주차 브레이크' 포드 F-150 87만 대 미국에서 리콜
-
'2억 9000만 원 150대 한정판 G-바겐' 벤츠, G 63 헤리티지 국내 출시
-
리튬 인산철 괜찮을까? '토레스 EVX’ 9월 출시 확정..보조금 받아 3000만 원대
-
'색상부터 고급스러워' 미니, 클럽맨 언톨드 에디션 온라인 한정 판매
-
브리지스톤 코리아, 브리지스톤 승용차 고객 대상 운행안심보장 프로그램 실시
-
심플한 그릴의 신형 BMW M2
-
'새차로 옮겨도 당분간 가능' 테슬라, FSD 9월 말까지 한시적 이전 캠페인 실시
-
무섭게 늘어나는 테슬라, 판매량과 비례해 증가하는 품질 불만 이슈
-
현대차, 비상등에서 다시 시동을 걸 때까지...코로나19 3년의 기록 백서 발간
-
'단순하지만 명쾌한 해결책' 현대차·기아 빗물 활용한 라이다 센서 청소법 특허
-
[아롱 테크] 열대화 시대 '폭염에 장사없다' 자동차 출력과 연비 뚝뚝
-
[시승기] '이거 맞아?' 토요타 하이랜더 110km 달리고 평균연비 17.2km/ℓ
-
N 비전 74...팔릴 것인지, 투자비는 건질 것인지 따질 차가 아니다
-
美 싱크탱크, IRA 장벽 한국산 전기차 리스로 뚫었다...판매액 배가량 증가
-
미국 NHTSA, 10년 내 연비 성능 58mpg 제안
-
쉐보레, 집중호우 피해 복구 위한 구호 차량 지원 나서
-
베트남 빈패스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공장 착공
-
현대차의 컨셉트카 'N비전74'는 과연 양산형이 나올까?
-
베타 떼는 테슬라 FSD, 완전 자율 주행? 머스크 호들갑에 업계는 '시큰둥'
-
벤츠, 더 길어진 3세대 완전변경 'GLC' 국내 인도 돌입… 사전계약 돌풍
- [유머] 오니쨩! 그만둬.. 거긴 오줌누는 곳이란 말이야...!
- [유머] 사람을 공격하는 무시무시한 야생동물
- [유머] 울음소리가 특이한 뇌조
- [유머] 꿀잠자고 물벼락
- [유머] 치킨 뜯어먹는 토끼
- [유머] 얼굴개그하는 서벌
- [유머] 운전하다 만난 땅늑대
- [뉴스] '우리들의 블루스' 한지민 언니, 다운증후군 작가 정은혜 5월 결혼
- [뉴스] 이승환, '사진 합성 의혹'에 미국 '입출국 기록' 공개... '내기 하자던 극우 유튜버 도망'
- [뉴스] FC서울 주장된 린가드, 결승골 세리머니로 '이 장면' 패러디... '오징어게임' 덕후 증명했다
- [뉴스] '별물' 공효진, '♥이민호' 아이 우주서 낳고 사망 엔딩... 실망감 속 시청률 2%대 종영
- [뉴스] 구속된 '캡틴 아메리카男'... 2018년 강남구의원 출마 경력도 있었다
- [뉴스] '뭐에 취해서 핸들을 잡았나?'... 이준석, 이재명 향해 공개 저격한 이유
- [뉴스] '서울 관악구의 별점5점 '마라탕집'서 배달시켰는데... 한참 먹고나서 보니 '벌레탕'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