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959[아롱 테크] 꽉 막혀도 아는 길만 다녔던 귀성길, 새 친구 덕분에 요리 조리
조회 4,221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10-04 12:00
[아롱 테크] 꽉 막혀도 아는 길만 다녔던 귀성길 '새 친구 덕분에 요리 조리 '
[오토헤럴드=김아롱 칼럼니스트] 우리나라 최대 명절인 추석 연휴가 시작됐습니다. 해마다 추석명절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찾아 귀성길에 오르는데요. 이럴 때마다 최대한 교통정체를 피해 빠르게 고향에 도착하거나 혹은 집으로 되돌아오기 위해 교통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최적의 이동경로를 고민하게 됩니다.
이처럼 장거리주행을 하거나 잘 모르는 초행길을 가야할 때 흔히 내비게이션을 사용하게 되는데 원하는 목적지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길을 안내해 주는 자동차 내비게이션은 이미 운전자의 필수아이템으로 자리잡은지 오래입니다.
자동차를 구매할 때 옵션으로 선택하거나 출고 이후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애프터마켓에서 매립형 또는 거치형 내비게이션을 별도로 구매해 장착하는 등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장착율은 거의 90%가 넘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탑재형 내비게이션 외에도 스마트폰의 지도앱이나 내비게이션 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차량내 내비게이션 사용은 거의 100% 이상이라고 할 수 있지요.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은 최근 모바일 기술이 결합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결합돼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을 미러링을 통해 차량 디스플레이에서 구현함은 물론 음성인식을 통한 목적지 검색도 가능해졌습니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지도 무선업데이트를 비롯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반영한 최적의 이동경로 안내, 맛집이나 관광명소 검색, 주유소나 편의점 등에서 차량내 결제(In Car Pay)가 가능해 지는 등 단순한 길 안내를 넘어 다양한 기능과 결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은 전화번호 검색, 음성인식 등 다양한 조건을 이용해 목적지를 검색하면 내비게이션에 내장된 전자지도를 바탕으로 고속도로 등 자동차전용도로와 일반도로, 추천경로, 최단거리, 유료 또는 무료도로,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반영해 최적의 주행경로를 찾아줍니다.
이를 위해 내비게이션은 전자지도에 표시된 노드(Node)라 불리는 도로네트워크 정보를 통해 최적의 주행경로 설정을 위한 우선순위를 정하게 되는데요, 예를 들어 고속도로나 4차선도로, 2차선도로, 이면도로 등과 같이 도로의 등급이나 직진, 우회전(또는 좌회전), 유턴 등 신호체계에 따라 우선 조건을 부여합니다.
이러한 우선순위는 전자지도 소프트웨어 회사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며, GPS의 수신감도 등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입니다. 흔히 대로변을 가지 않고 이면도로를 통해 돌아가거나 목적지 주변에서 맴도는 것도 이러한 경로찾기 알고리즘이 다르기 때문이지요.
특히 같은 목적지를 찾아가더라도 사용하는 내비게이션에 따라 짧게는 30~40분 길게는 한 시간이상 차이를 보이는가 하면, 자동차 전용도로를 옆에 두고도 비좁은 이면도로나 골목길, 농수로 등으로 길을 안내하는 등 내비게이션이 길을 제대로 찾지 못하는 경우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로 검색하면 엉뚱한 곳이 나오거나, 고속도로 우선모드가 가장 먼 경로를 검색하고 최단거리 검색 시 실제 주행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는 이야기도 알고보면 이러한 이유입니다. 또한 내비게이션에 내장된 전자지도는 실측 지도인 원도(原圖)를 가공해서 만들어지는데, 원도를 가공해 내비게이션용 지도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업체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습니다.
내비게이션 제품마다 배경화면이나 지형지물 묘사방법이 다르고 가공하는 방법도 다르기 때문이지요. 최근에는 저장매체의 발달로 지도용량이 8GB~~16GB, 경우에 따라 32GB에 이르지만 과거에는 지도 저장용량의 한계로 원도를 많이 가공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내비게이션에 탑재된 전자지도의 정밀성과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의 수신율 차이에 따라 내비게이션의 성능이 좌우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GPS의 수신율이 떨어지는 경우 고층빌딩이 많은 지역에서 네비게이션이 제대로 현재 위치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지요.
한편 최근에는 자율주행차를 위해 고해상도의 전자 정밀지도가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자율주행레벨 3단계)의 경우 지도의 오차범위가 약 1m 정도이지만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레벨4나 레벨5 자율주행차의 경우 불과 2~5cm의 고정밀 지도를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고정밀 지도에는 도로의 경계와 차선은 물론 각종 시설물의 정보가 매우 상세하게 표시됩니다. 중앙선과 경계선 등 차선단위 정보와 신호등, 횡단보도, 표지판, 노면마크 등은 물론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 도로의 회전반경 등까지 표시해 각종 센서로 무장한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이 악천후나 센서고장 등이 발생해 제 역할을 못하더라도 차량이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고정밀의 GPS가 필요한 것은 말할 것도 없지요. 전방 카메라를 이용해 전방의 교차로나 분기점 등을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나 내비게이션 화면에 보여주며 실시간으로 길안내를 도와주는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이나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컨트롤 등도 이러한 고정밀 지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넓고 복잡한 건물 안이나 지하에서도 내비게이션 안내가 가능한 실내 주차장 지도가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복합상가, 지하주차장 등에 차량이 들어설 경우 내비게이션의 GPS 상태가 불량하거나 지도정보가 부족해 내비게이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합니다.
건물 실내 지도는 디지털 맵을 통해 건물내부의 동선을 파악하고 비어있는 주차공간을 모니터링해 빈 주차공간을 안내하거나 전기차 충전기, 장애인 주차장, 무인택배, 동별 출입구 등 인프라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외에도 차량용 내비게이션은 물론 스마트폰 내비게이션은 빠르고 정확한 경로탐색을 위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TPEG란 교통 및 여행 정보를 방송 및 인터넷에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 표현 가능한 모든 교통상황을 여러 개의 테이블을 이용해 표기하고 이와 관련된 정보를 각 단말기에 전송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TPEG 서비스는 여러 도로의 주행속도 및 통과 예측시간을 제공해 주는 교통혼잡정보(CTT, Congestion Time Table)와 사고상황을 알려주는 유고정보(RTM, Road Traffic Message), 안전운전정보(SDI, Safe Driving Information) 그리고 식당이나 공원, 공연 등의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참조정보(POI, Point of Interest)를 제공하는데요.
DMB 수신대역이나 이용자 취향 등에 따라 다양한 응용 정보제공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 특징입니다. 예를 들면 올림픽대로를 달리던 승용차가 반포대교 부근 1차로에서 버스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경우, 뒤따르는 자동차에 장착된 내비게이션에 사고위치와 형태는 물론 지체길이, 현재 차량의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예상 도착시간 등 각종 교통정보를 표시해 주는 등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해 막히지 않는 길을 안내해 줌으로써 운전시간과 기름값을 절약해 주는 것이지요.
김아롱 칼럼니스트/[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GM 한국사업장, 철수 루머에 무대응 방침 … 신차 출시 계속될 것
[0] 2025-04-16 17:25 -
현대모비스, 상해모터쇼 신기술 10종 공개...맞춤형 영업 활동 수주 2억불 목표
[0] 2025-04-16 14:25 -
볼보트럭, 국제 환경기업 프리제로에 전기트럭 35대 공급... 배출가스 제로 전환
[0] 2025-04-16 14:25 -
'완벽한 진화' 캐딜락 간판급 풀사이즈 SUV, 더 뉴 에스컬레이드 국내 출시
[0] 2025-04-16 14:25 -
'재미' 담은 미니 韓 진출 20주년 신규 브랜드 영상 공개
[0] 2025-04-16 14:25 -
기아, 오션클린업 글로벌 파트너십 뉴스위크 선정 '올해의 지속가능경영' 부문 수상
[0] 2025-04-16 14:25 -
‘렉서스 크리에이티브 마스터즈 어워드 2025’ 최종 수상자 5인 선정
[0] 2025-04-16 14:25 -
현대차, 올해 10주년 ‘1인 나무1기부‘ 포레스트런 2025' 캠페인 실시
[0] 2025-04-16 14:25 -
한국타이어, '포뮬러 E’ 모터스포츠 DNA 담은 아이온 온라인 한정판 출시
[0] 2025-04-16 14:25 -
제프 베조스가 투자하는 저가형 전기 픽업 '슬레이트' 첫 티저 공개
[0] 2025-04-16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한국타이어,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업무협약 체결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차 판매 66% 증가/전동화차 점유율 20%
-
BMW그룹, 3분기 전기차 판매 79.6% 증가/점유율 15%
-
UAW, 포드 켄터키 트럭 공장 파업 확대
-
'다시 한번 기아' EV4 · EV3 콘셉트 세계 최초 공개...전기차 시대 전환 속도
-
'전기차 대중화의 시작점' 기아 EV5 국내 최초 공개… E-GMP 첫 전륜 구동
-
중국 자동차 최다 보유 도시 '베이징'이 아니네...쓰촨성 청두 638만대로 1위
-
제네시스, 미국시장 판매 거점 33개주로 확대
-
ZF, 미국 오셔니어링에 3세대 전기 셔틀 라이선스 부여
-
애스턴마틴, 2025년 목표 고성능 전동화 전략 단비...英 정부 145억 지원
-
우승상금 3억 그리고 GV80 쿠페, KPGA ‘2023 제네시스 챔피언십’ 개막
-
기아 ‘웰컴휠 캠페인’ 교통약자 이동 편의 및 접근성 위한 이동식 경사로 보급
-
현대차 ‘2023 현대 트럭 & 버스 페스타’ 개최...화물 창업 아카데미도 진행
-
두 거물, 포르쉐와 프라우셔...핸들링 좋은 프리미엄 전기 요트 'e팬텀 에어' 공개
-
초기품질 '도요타, 내구품질 '렉서스' 압도적 1위...점점 밀리는 국산차 순위
-
'라인 세우느니 다른 차라도' 현대차, 中 공장서 '아크폭스' 전기차 수탁 생산
-
[아롱 테크] 자동차는 다이어트 중, 쇠 보다 가볍고 더 강한 첨단 소재의 경쟁
-
[EV 트렌드] 폭스바겐 유럽서 ID.4 · ID.5 업데이트 '주행가능거리 556km'
-
재팬모빌리티쇼 2023 - BMW, 신형 X2 최초 공개
-
재팬모빌리티쇼 2023 - 스바루, 스포츠 EV 쿠페 공개
- [유머] 신뢰버튼 vs 배신버튼
- [유머] 의외로 남자들도 잘모르는것들.jpg
- [유머] 쌀숭이들의 식당비유
- [유머] 일본의 장어덮밥 도시락
- [유머] 챗지피티야 이세상에 없는걸 그려봐
- [유머] 남자애 둘이 나 때문에 싸워
- [유머] 로또 당청됐어요
- [뉴스] 다섯째 생긴 비글부부 하준맘... '다낭성' 이겨낸 기적의 임신 소식
- [뉴스] 불륜설 정면 돌파한 최여진... 끝내 눈물로 털어놓은 속마음
- [뉴스] '돌아갈 곳 없다'…추성훈, 일본서 알린 슬픈 소식
- [뉴스] 돌반지까지 팔았다... '연매출 700억' 와플대학 CEO 손정희의 처절했던 실패기
- [뉴스] 교도관 얼굴에 '침' 뱉었다가... 징역 1년 추가 선고받은 수형자
- [뉴스] 17년만에 JYP 떠나며 전직원에게 선물+손편지 전달한 이준호
- [뉴스] 수전설비 들어가 감전사한 고양이... 아파트 372 세대는 '정전' 소동 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