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058[김흥식 칼럼] 수입차 무덤이 된 중국, 전기차로 폭스바겐까지 제쳐 버린 BYD
조회 4,689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7-26 17:25
[김흥식 칼럼] 수입차 무덤이 된 중국, 전기차로 폭스바겐까지 제쳐 버린 BYD
중국 자동차 산업 전환기는 2002년 WTO 가입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WTO 가입 이전 100만 대를 조금 웃돌던 중국 자동차 수요는 이후 급속히 증가해 2004년 500만 대를 돌파했고 2017년 2880만 대로 정점을 찍는다.
코로나 19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였던 추이는 2022년 2718만 대로 회복했다. 이 가운데 신 에너지차로 불리는 전동화 모델은 대부분 내수 수요이긴 해도 전년 대비 93.4% 증가한 688만 7000대를 팔아 세계 시장 25%를 점유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이 이렇게 빠른 성장을 이어왔던 배경에는 폭스바겐, 지엠, 토요타 그리고 한국의 현대차 등 다국적 기업의 현지 합작사가 있다. 중국은 1994년부터 지분율이 50%를 넘지 않는 조건으로 현지 업체와의 합작사 설립을 허용했다.
베이징 현대, 동풍열달기아, 상하이 폭스바겐, 광기 토요타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은 유수의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보유한 선진 기술을 습득하고 기업은 거대 시장을 확보하는 윈윈의 시작이었다. 그런 기대에 맞춰 중국 자동차 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2017년 중국 정부가 신 에너지차를 국가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중국 토종 브랜드는 합작사보다 독자 브랜드에 주력했고 우후죽순 전기 스타트업이 등장하면서 내연기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외국계 투자 기업들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내연기관차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을 때까지만 해도 중국은 폭스바겐, 지엠, 토요타, 현대차 등 외국계 합작사가 주도했다. 코로나 19 창궐 직전인 2019년 폭스바겐의 시장 점유율은 19.5%, 지엠은 7.2%에 달했다.
그러나 코로나 19가 진정세에 접어들고 전동화 추세가 빨라지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전동차에 주력한 중국 토종 브랜드의 점유율이 2021년 처음 30%대(32.5%)에 진입했고 단 1년 만인 지난해 49.9%로 급상승했다. 올해 전망치는 최대 60%다. 전례가 없는 엄청난 속도다.
그 사이 독일계는 20.6%에서 19.5%, 미국계는 10.2%에서 9.4%로 떨어졌다. 2017년 연간 판매량 179만 대로 7.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30만 대를 채우지 못했고 점유율은 1%대로 급락했다.
문제는 긴 시간 완만하게 하향세를 이어왔던 국산차와 다르게 최근 1~2년 사이 급격하게 판매가 감소한 독일계와 미국계의 충격이다. 특히 지난 2월 BYD에 추월을 허용한 이후 점유율 하락이 이어지고 있는 폭스바겐을 심각하게 바라보는 관측이 많아졌다.
중국자동차기술연구센터(CATRC)에 따르면 BYD 2분기 판매는 59만 5000대로 시장 점유율 11.2%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폭스바겐은 54만 4000대에 그쳤다. 문제는 BYD가 판 차량 대부분이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신 에너지, 전동화 모델이라는 사실이다.
중국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요는 월 70만 대를 넘어서고 있다. 시장에서 팔리는 자동차 5대 가운데 2대가 전동화 모델이다. 올해 총 2760만 대로 예상하는 중국의 총 내수 판매량 가운데 전동화 모델이 900만 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토종 브랜드가 전동화 모델로 시장을 잠식하고 있지만 외국계 합작사 대부분은 여전히 내연기관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노골적인 자국 우선 지원 정책으로 가격과 성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상품을 공급하기 어려운 상황인 탓도 있다.
폭스바겐만 그런 것도 아니다. 이미 현대차와 기아 한국 계열은 사업의 존폐 여부를 살펴야 할 처지가 됐고 지엠을 중심으로 한 미국계, 폭스바겐을 대표로 한 독일계 모두 시간의 문제일 뿐 사정이 다르지 않다.
더 큰 문제는 이런 걱정을 중국이 아닌 다른 시장에서도 하게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중국산 자동차의 수출은 2021년 대비 45.5% 증가한 311만 대, 이 가운데 전동화 모델이 68만 대를 차지했다. 중국이 수입차의 무덤이 되고 세계 자동차 시장을 지배하는 일이 가능해지고 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닛산, 상하이 모터쇼에서 첫 PHEV 픽업 '프론티어 프로' 공개
[0] 2025-04-25 17:25 -
현대차, 美 관세 대응 전담조직 신설… 투싼 일부 생산 미국으로 이전
[0] 2025-04-25 17:25 -
트럼프 행정부,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 발표… 테슬라 로보택시 상용화에 탄력
[0] 2025-04-25 17:25 -
기아, 2025년 1분기 매출 역대 최고치 경신… 전기차·하이브리드 확대
[0] 2025-04-25 17:25 -
[시승기] '풀하드웨어' 최첨단 장비 가득, 5세대 부분변경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0] 2025-04-25 14:25 -
[EV 트렌드] '18분이면 충전 끝' 스텔란티스, 고체 배터리 탑재 전기차 예고
[0] 2025-04-25 14:25 -
푸조 '3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안심 가격 보장제 실시...위탁판매 및 가격 정찰제
[0] 2025-04-25 14:25 -
[2025 상하이오토쇼] 벤틀리, 컨티넨탈 GT · 플라잉스퍼 아주르 라인업 공개
[0] 2025-04-25 14:25 -
KGM, 드라이브 페스타 '토레스 하이브리드' 120시간 스페셜 시승 실시
[0] 2025-04-25 14:25 -
현대차·기아, 협력사 채용 지원 동반성장 프로그램 '2025 Here We GO!' 실시
[0] 2025-04-25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자동차산업연합회, 납품대금 연동제 설명회 개최
-
재규어랜드로버, 신임 CEO에 아드리안 마델 임명
-
'파란불 언제' 볼보자동차, 2024년형부터 신호등 정보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
[김흥식 칼럼] 수입차 무덤이 된 중국, 전기차로 폭스바겐까지 제쳐 버린 BYD
-
테슬라, 중국산 모델Y 처음으로 한국시장에 수출 개시
-
볼보코리아, 24년식 모델에 차세대 티맵 통합형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탑재
-
현대차, 2분기영업益 어닝 서프라이즈... 보통주 기준 배당액 1500원 결정
-
현대차그룹, 집중호우 피해 지역 신속 복구...이재민 지원 성금 30억원 기탁
-
2023 IAA - 메르세데스-벤츠, 차세대 소형 세단 컨셉 공개
-
2024년형 GMC 험머 EV 픽업, 주행가능거리 613km로 확대
-
현대차 노사, 8자녀 다둥이 직원을 찾은 이유...저출산 대책 팔 걷고 나섰다.
-
단종? 쉐보레 차세대 볼트 '얼티엄과 얼티파이' 기술로 업그레이드
-
유럽 먼저, 차원이 다른 300kW급 '포르쉐 차징 라운지' 오픈..한국은?
-
'여전히 가성비 최고의 고성능' 현대차 더 뉴 아반떼 N 출시… 시작가 3352만 원
-
현대차, 제네시스 GV90에 삼성 엑시노스 오토 V920칩 탑재한다.
-
BMW그룹, 중국 상하이에 새로운 연구 센터 개장
-
몰렉스, BMW 그룹과 차세대 전기차 클래스용 대규모 양산 계약 체결
-
볼보, 상반기 매출 3년 연속 증가
-
6월 수입 상용차 415대 신규등록
-
KG 모빌리티, 디지털 크리에이터 ‘쌍크ME 3’ 발대식 개최
- [유머] 배트맨이재용
- [유머] 싱글벙글 도시락
- [유머] 있을때 잘해라
- [유머]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의 헌법 제1조 모음
- [유머] 퇴사한 친구가 보내온 일상.jpg
- [유머] 요즘 급식실 피자 퀄리티가
- [유머] 일본 출근길 지옥철
- [뉴스] 원정 온 롯데 선수들 기 죽지 말라고 잠실까지 찾아와 응원한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 [뉴스] 박효신, 벌써 다섯 번째 고소 당해... 이번엔 무슨일 ?
- [뉴스] 브라이언 '조용히 기부 중인데 DM으로 '왜 안 하냐' 혼난다'
- [뉴스] '더 글로리' 동은이 엄마 역 故박지아, 유작 '파과'에서 남긴 마지막 존재감
- [뉴스] '예능 나올게 아니라 경찰서부터 가라'... 시청자들 충격 받게 한 '이혼숙려캠프' 사례
- [뉴스] 'XX 못해먹겠네'... 박명수, '무도' 욕설 유출 논란 범인 최초 공개
- [뉴스] '이게 진짜 안유진이라고?'... 아이브 데뷔 전 10년 전 과거 사진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