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853[김흥식 칼럼] 수입차 무덤이 된 중국, 전기차로 폭스바겐까지 제쳐 버린 BYD
조회 4,580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7-26 17:25
[김흥식 칼럼] 수입차 무덤이 된 중국, 전기차로 폭스바겐까지 제쳐 버린 BYD
중국 자동차 산업 전환기는 2002년 WTO 가입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WTO 가입 이전 100만 대를 조금 웃돌던 중국 자동차 수요는 이후 급속히 증가해 2004년 500만 대를 돌파했고 2017년 2880만 대로 정점을 찍는다.
코로나 19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였던 추이는 2022년 2718만 대로 회복했다. 이 가운데 신 에너지차로 불리는 전동화 모델은 대부분 내수 수요이긴 해도 전년 대비 93.4% 증가한 688만 7000대를 팔아 세계 시장 25%를 점유했다.
중국 자동차 산업이 이렇게 빠른 성장을 이어왔던 배경에는 폭스바겐, 지엠, 토요타 그리고 한국의 현대차 등 다국적 기업의 현지 합작사가 있다. 중국은 1994년부터 지분율이 50%를 넘지 않는 조건으로 현지 업체와의 합작사 설립을 허용했다.
베이징 현대, 동풍열달기아, 상하이 폭스바겐, 광기 토요타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은 유수의 글로벌 자동차 기업이 보유한 선진 기술을 습득하고 기업은 거대 시장을 확보하는 윈윈의 시작이었다. 그런 기대에 맞춰 중국 자동차 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2017년 중국 정부가 신 에너지차를 국가의 핵심 전략으로 추진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중국 토종 브랜드는 합작사보다 독자 브랜드에 주력했고 우후죽순 전기 스타트업이 등장하면서 내연기관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외국계 투자 기업들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내연기관차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을 때까지만 해도 중국은 폭스바겐, 지엠, 토요타, 현대차 등 외국계 합작사가 주도했다. 코로나 19 창궐 직전인 2019년 폭스바겐의 시장 점유율은 19.5%, 지엠은 7.2%에 달했다.
그러나 코로나 19가 진정세에 접어들고 전동화 추세가 빨라지면서 상황이 역전됐다. 전동차에 주력한 중국 토종 브랜드의 점유율이 2021년 처음 30%대(32.5%)에 진입했고 단 1년 만인 지난해 49.9%로 급상승했다. 올해 전망치는 최대 60%다. 전례가 없는 엄청난 속도다.
그 사이 독일계는 20.6%에서 19.5%, 미국계는 10.2%에서 9.4%로 떨어졌다. 2017년 연간 판매량 179만 대로 7.7%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30만 대를 채우지 못했고 점유율은 1%대로 급락했다.
문제는 긴 시간 완만하게 하향세를 이어왔던 국산차와 다르게 최근 1~2년 사이 급격하게 판매가 감소한 독일계와 미국계의 충격이다. 특히 지난 2월 BYD에 추월을 허용한 이후 점유율 하락이 이어지고 있는 폭스바겐을 심각하게 바라보는 관측이 많아졌다.
중국자동차기술연구센터(CATRC)에 따르면 BYD 2분기 판매는 59만 5000대로 시장 점유율 11.2%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폭스바겐은 54만 4000대에 그쳤다. 문제는 BYD가 판 차량 대부분이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신 에너지, 전동화 모델이라는 사실이다.
중국의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요는 월 70만 대를 넘어서고 있다. 시장에서 팔리는 자동차 5대 가운데 2대가 전동화 모델이다. 올해 총 2760만 대로 예상하는 중국의 총 내수 판매량 가운데 전동화 모델이 900만 대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토종 브랜드가 전동화 모델로 시장을 잠식하고 있지만 외국계 합작사 대부분은 여전히 내연기관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노골적인 자국 우선 지원 정책으로 가격과 성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상품을 공급하기 어려운 상황인 탓도 있다.
폭스바겐만 그런 것도 아니다. 이미 현대차와 기아 한국 계열은 사업의 존폐 여부를 살펴야 할 처지가 됐고 지엠을 중심으로 한 미국계, 폭스바겐을 대표로 한 독일계 모두 시간의 문제일 뿐 사정이 다르지 않다.
더 큰 문제는 이런 걱정을 중국이 아닌 다른 시장에서도 하게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해 중국산 자동차의 수출은 2021년 대비 45.5% 증가한 311만 대, 이 가운데 전동화 모델이 68만 대를 차지했다. 중국이 수입차의 무덤이 되고 세계 자동차 시장을 지배하는 일이 가능해지고 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BMW '창립 30주년 기념' 더욱 특별한 온라인 한정판 5종 출시
[0] 2025-04-04 14:00 -
[2025 서울모빌리티쇼] 제네시스, 자연부터 랠리 파워풀함을 뱅앤올룹슨으로
[0] 2025-04-04 14:00 -
세계 최고의 매체가 뽑은 최고의 타이어, 미쉐린도 굿이어도 아니었어
[0] 2025-04-04 14:00 -
[2025 서울모빌리티쇼] 21종 신차 공개, 프레스데이 가장 주목 받은 베스트 3
[0] 2025-04-04 14:00 -
[EV 트렌드] '안 팔릴 차였어' 사이버트럭 재고 수천억, 중고차 가격 반토막
[0] 2025-04-04 14:00 -
美 관세 '누군가는 웃는다' 포드, 모든 고객 임직원 할인가 파격 프로모션
[0] 2025-04-04 14:00 -
BMW 그룹,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즐기는 현장 이벤트 및 체험 프로그램
[0] 2025-04-04 13:45 -
현대차·엠티알 공동 개발, 11인승 전기 중형 승합차 ST1 기반 ‘CV1’ 공개
[0] 2025-04-04 13:45 -
'우리도 이제 전동화' 지프, 차세대 컴패스에서 3가지 파워트레인 탑재
[0] 2025-04-04 13:45 -
'공력 성능 향상으로 안정성 · 제동력 향상' BMW모토라드, 뉴 S 1000 RR 출시
[0] 2025-04-04 13:4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비 50.1% 증가 '韓 3사 점유율 2.2%p 하락'
-
테슬라의 주행거리 과장에 관해 미국 소비자들 집단 소송 준비
-
테슬라, 7월 중국산 모델 판매 6월보다 31% 감소
-
메르세데스 올라 캘레니우스, “머지 않아 전기차 기하급수적 성장 가능”
-
전고체전지, 양산 시작해도 전기차 시장의 빠른 침투는 어려울 전망
-
토요타코리아, ‘2023 토요타 썸머 드라이브’ 캠페인 실시
-
보그워너, 글로벌 자동차 부품업체에 OEM 전기차 플랫폼용 고전압 수가열 히터 공급
-
맥라렌, 750S만을 위한 비스포크 컬러 ‘스펙트럼 테마’ 공개
-
7월 국내 친환경차 판매 하이브리드 · 순수전기차 '엇갈린 운명'
-
일론 머스크, 테슬라 FSD에 적용되는 AI 퍼즐의 마지막 조각만 남아
-
한 때 '왜건의 명가' 볼보, 영국서 왜건 단종하고 SUV 판매에 집중
-
람보르기니, 우루스와 우라칸 인기 힘입어 2023년 상반기 기록적인 성과 달성
-
만트럭버스코리아, 하반기 시장 확대 위한 전략적 행보로 고객 만족 높인다
-
현대차, 포터II 일렉트릭 고객 대상 ‘럭키패스 H 하이웨이+’ 론칭
-
현대차그룹, Tenstorrent에 전략투자... ‘맞춤형 반도체’ 확보
-
'독점 개발한 멀티톤 도색' 맥라렌 750S 위한 비스포크 컬러 스펙트럼 테마
-
'SUV 치여 안 팔리는 세단' 스팅어 따라 고개 내미는 제네시스 G70 단종설
-
KG 모빌리티, 상반기 영업益 282억 원...7년 만에 반기 흑자 달성
-
미래차 디자인 이 정도는 되어야, 피닌파리나 '푸라' 비전 콘셉트 공개
-
현대모비스, 무릎에 걸리지 않는 '8ℓ 파라볼릭 모션 글로브 박스’ EV9 첫 적용
- [유머] 이디아 커피 어느 매장에 붙혀진 경고장
- [유머] XX씨 통장이랑 신분증 사진 보내주세요
- [유머] 주사는 너무 싫어요
- [유머] 어른되면 안먹을줄 알았던 과자들
- [유머] 진실을 알아가는 과정의 괴로움
- [유머] 춥다냥
- [유머] 로스쿨 나오셨다고요?
- [뉴스] 헌정사 최초... 尹과 김 여사 부부, '이것' 최초로 못 받는 대통령 부부됐다
- [뉴스] 유시민 '이재명, 대통령 될 가능성 상당해... 검찰개혁도 완수할 것'
- [뉴스] '국힘 복당해!'... 시민단체 외침에 김문수 장관이 한 '선언'
- [뉴스] 헌정사 두번째 탄핵... 북한, 이번엔 박근혜 때와 다른 태도 보여
- [뉴스] '尹 탄핵 기각' 강력 주장했는데... '파면' 직후 대선 출마 공식화한 홍준표
- [뉴스] 신동엽 사는 그 아파트 '95억' 신고가... '사고 싶어도 맘대로 못 사'
- [뉴스] '가슴 아파요' 배우 최준용, 尹 탄핵 슬픔 토해... '계엄, 제대로 하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