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354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7-13 17:25
[아롱 테크] 배출가스 제로? 전기차 온실가스, 내연기관보다 더 배출
지구의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로 기상이변이 속출하는 등 심각한 자연재해가 연이어 발생하면서 전 세계가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은 자동차산업을 포함한 산업전반에 대해 온실가스를 현재보다 절반이상 줄이는 등 온실가스를 발생을 최소화해 오는 2050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Carbon Free 또는 Net Zero)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온실가스(GHG : Green House Gas)란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와 같이 지구의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이 되는 유해배출가스를 의미하는데요. Net Zero(순수제로)는 이러한 온실가스를 사용하고 남은 배출량을 없애는 등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적인 온실가스의 발생량과 사용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Net Zero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목표로 제시됨에 따라 세계 각국의 정부와 기업 등을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과 약속을 수립하고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대부분 2050년까지 목표를 설정하고 있지만 일부 국가나 기업의 경우 이보다 빠른 2035년까지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하이브리드차와 같은 친환경자동차 및 차량의 전동화가 급속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입니다. 특히 전기차의 보급확대는 이제는 더 이상 미룰수 없는 대세가 되고 있는데요, 전기차는 운행중에 이산화탄소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전기차가 모든 내연기관차를 대체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숙제를 안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모든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충분한 전력공급을 포함한 충전인프라 등 전기차 외에도 갖춰야 할 사회적 기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전기차가 탄소중립(Net Zero)을 실현할 수 있는 훌륭한 도구이지만 완벽한 대안이라고는 할 수 없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미국에너지관리청(EIA,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에 따르면, 오는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는 2050년 전세계 자동차대수는 22억 1천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내연기관차가 여전히 7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전동화와 함께 기존 내연기관차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방안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식물성 원료에서 추출한 바이오 연료나 e-Fuel과 같은 대체연료를 기존 내연기관차에 사용함으로써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이지요. 전기차로 대체할 경우 늘어나는 전기차 대수만큼 온실가스가 저감되지만 대체연료를 사용하면 기존 내연기관차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전기차 판매량 확대보다 훨씬 높다는 것이 관련업계의 설명입니다.
이 때문에 오는 2030년 이후 내연기관차 판매를 전면중단하겠다고 나섰던 자동차제조사들이 내연기관차 판매중단 전략을 수정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럽연합(EU)과 독일은 최근 2035년 이후 대체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차의 신차판매 및 등록을 조건부로 허용하기로 합의하고 후속 법안마련에 돌입했습니다.
한편 세계 각국은 환경보호를 위해 자동차산업에 대한 다양하고 엄격한 규제와 정책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규제와 정책은 자동차 제조업체의 자동차의 개발 및 운영방식을 환경적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고,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며,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자동차업계는 자동차의 전주기평가(LCA, Life Cycle Assessment) 개념을 도입해 자동차산업에서의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이자 지속적인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광범위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하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LCA는 기존 자동차의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저감목표 뿐 아니라 자동차의 생산과정부터, 운행, 유지보수, 폐차 및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자동차의 모든 라이프 사이클(생애주기)을 고려해 온실가스 발생량을 측정하고 감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동차는 운행 때 발생되는 온실가스는 물론 생산과정부터 폐차할 때까지 온실가스 배출은 물론, 대기오염과 자원소비 등 다양한 환경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까지의 자동차 온실가스 배출저감 정책은 Tank to Wheel 방식 즉, 운행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발생을 기준으로 해 왔습니다. 그러나 LCA 개념이 도입되면서 자동차의 생산과정뿐 아니라 유전에서 석유의 생산 및 정제, 운송, 공급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까지 고려하는 Well to Wheel 방식이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는 전기차의 경우 LCA 개념을 도입할 경우 오히려 가솔린차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더 많이 발생되기도 합니다. 오히려 하이브리드차가 LCA를 고려할 경우 전기차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더 적은 경우 차량도 있습니다.
전기차의 경우 운행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핵심부품인 고전압 배터리의 생산과정에서 많은 온실가스가 발생할 뿐 아니라 충전을 위한 전력생산에서도 많은 온실가스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석탄 등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전기차 판매량이 늘수록 화력발전용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지요.
실제로 한양대학교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순수전기차인 테슬라 모델 X의 경우 운행중에는 온실가스가 전혀 배출하지 않지만 LCA를 고려할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이 1킬로미터(km)당 약 270그램(g)으로 내연기관차인 현대 아반떼(225g/km, 가솔린 기준)보다 약 45그램을 더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현대 코나 전기차는 현대 아이오닉 하이브리드 모델보다 약 10그램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 다른 연구결과로는 현재 20~30%에 불과한 내연기관의 엔진효율을 50%까지 향상시킬 경우 전기차와 비슷한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내연기관차들은 고압축비와 고압 직접분사, 텀블강화 및 롱스트로크 엔진, 초희박연소 및 대체연료 엔진, 고효율의 터보차저, 마찰감소 및 기계효율 향상, 배기가스 재순환 효율향상, 배기열 회수 및 단열, 수소엔진 개발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기도 합니다. 특히 공연비가 낮은 초희박연소와 e-퓨얼, 에탄올 등 바이오연료 등을 사용할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아롱 칼럼니스트/webmaster@autoherald.co.kr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한자연, ‘2025년 제1차 자동차 ISC 운영위원회’ 개최
[0] 2025-05-16 17:25 -
메르세데스-벤츠, 미국 생산 확대… 앨라배마 공장에 GLC SUV 추가
[0] 2025-05-16 14:25 -
조용한 상하이, 더 단단해진 중국차의 속내
[0] 2025-05-16 14:25 -
도요타, ‘bZ 우드랜드’ 공개...418km 달리는 정숙한 전기 오프로더 SUV
[0] 2025-05-16 14:25 -
[EV 트렌드] 머스크는 돌아왔는데 유럽에서 테슬라 차량 대규모 반납 사태
[0] 2025-05-16 14:25 -
아우디 뉴 A5, 짧은 만남 긴 여운 “성능은 탑인데 멀리서 보면 모르겠어”
[0] 2025-05-16 14:25 -
마세라티, 절제된 블랙 그레칼레 스페셜 에디션 ‘네로 인피니토’ 출시
[0] 2025-05-16 14:25 -
넥세권에서 귀호강, 현대차 신형 넥쏘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탑재
[0] 2025-05-16 14:25 -
현대차·기아-서울대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구축... E-FOREST센터 주도
[0] 2025-05-16 14:25 -
美 환경보호청, 공회전 방지 장치 불편하다? 탄소 크레딧 폐지 공식 검토
[0] 2025-05-16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르노코리아 노사, 2023 임금협상 잠정합의안 도출...기본급10만원 인상
-
세계 최고 부자나라 미국이 1990년대 일본의 중고 경트럭을 수입하는 까닭
-
[EV 트렌드] 캐딜락, 리릭 이어 두 번째 전용 전기차 '옵틱' 디자인 유출
-
'경쟁 밀려난 테슬라와 저가 중국산 공세' 국산 전기차 가격 딜레마 경고
-
쉐보레 부분변경 트레일블레이저 출시 '확 바뀐 인테리어' 시작가 2699만원
-
BMW, 한국교통안전공단ㆍKAMA와 '전기차 배터리 자율등록제’ 참여
-
현대차ㆍ기아, 본격적인 휴가철 ‘여름 특별 무상점검 서비스’ 실시
-
'안전기준 부적합' 르노 마스터 · 혼다 오딧세이 등 6개 차종 1만 2358대 리콜
-
GM 전기 밴 브라이트드롭, 배터리 공급문제로 생산 중단
-
포드, F-150 라이트닝 가격 최대 1만 달러 인하
-
테슬라, 태양광으로 충전 가능한 차지 온 솔라 출시
-
스텔란티스, 반도체 공급망 생태계 구축 위해 112억 달러 계약 체결
-
100년 가까이 계승된 디자인 아이콘, BMW의 '키드니 그릴'
-
볼보자동차코리아, ‘XC40 세이지 그린' 에디션 온라인 통해 25대 한정 판매 실시
-
자동차 국내 생산 400만 대 간다...KAMA, 수출 전망치 262만 대로 상향 조정
-
보릿고개 맞은 폭스바겐 향후 3년 간 최대 100억 유로 운영비 절감
-
영화처럼, 번호판 인식 카메라가 AI를 만나면? 마약 밀매 차 콕 짚는다
-
[공수전환] 5세대 싼타페 Vs 4세대 쏘렌토, '디자인만 놓고 보면 감이 딱'
-
강렬한 표정의 슈퍼카, 람보르기니 리부엘토
-
이베코코리아, 2023년 하계 순정 부품 캠페인 실시
- [유머] 한국에선 웃겼는데 일본에선 악플 3만개 달렸다는 개그
- [유머] 무한도전 최고의 밈은
- [유머] 브랜드별 돈가스 비교
- [유머] 연금술 성공
- [유머] 학벌 지리네
- [유머] 조카가 울면서 뛰쳐 나간이유
- [유머] 싱크홀이 발생한 이유
- [뉴스] 오늘(18일) 오후 8시, 대선 후보 첫 TV토론... '경제 분야'로 정면 대결
- [뉴스] 심형래 '하루 문자 400통'...2년간 스토킹 당한 충격 고백
- [뉴스] 고현정, 수척해진 모습으로 근황 공개... '휘청휘청' 표현에 팬들 걱정
- [뉴스] 기상캐스터 '故 오요안나' 사망 사건... 직장내괴롭힘 조사 결론 나왔다
- [뉴스] '볶음밥이 다이어트 음식이라고?'... 홍윤화가 18kg 빼며 먹은 비법 음식, 이거였다
- [뉴스] '헬스장 관장 전화번호 '직함 없이' 이름 세글자로 저장했다고 나오지 말랍니다'
- [뉴스] '건보 자격 취득' 내국인 3만명 줄 동안 '이 나라'는 4만명 증가... 중국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