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948타카타 에어백 또 사망 사고, 운전자 최소 6회 이상 무상 교체 권고 무시
조회 4,07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7-12 11:25
타카타 에어백 또 사망 사고, 운전자 최소 6회 이상 무상 교체 권고 무시
미국 미시간주 오번 힐스에서 지난 13일(현지 시각), 타카타(Takata) 에어백 결함에 의한 사망 사고가 또 발생했다. 미국에서만 타카타 에어백 결함으로 추산할 수 있는 사고 사망자는 26명으로 늘었다. 전 세계 사망자는 34명, 부상자는 400명 이상에 이른다.
타카타 에어백 악몽은 2004년 혼다 어코드 폭발 사고로 시작해 2014년 미국 NHTSA 리콜 명령이 전 세계로 확산하며 20년이 다 되가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또 다시 사망자가 발생하자 대상 차량의 에어백 교체 수리를 미루는 운전자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사망 사고를 낸 2003년형 닷지 램(Dodge Ram)도 타카타 에어백 리콜 대상으로 최소 6번 이상 리콜 안내 우편을 받았지만 운전자가 모두 무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고로 동승자 역시 에어백 파편에 의한 심각한 상처를 입었다.
피아트 크라이슬러(FCA) 미국 법인에 따르면 2014년 리콜이 시작된 이후 전달이 확실한 우편과 택배, 이메일, 문자 메시지, 전화 통화, 가정 방문 등 지금까지 2억 1000 만회 이상 대상 차량 소유주에 타카타 에어백 결함 사실과 무상 교체를 알리고 권고했다.
하지만 630만 대가량의 대상 차량 가운데 아직 23만 3000대가 타카타 에어백을 교체하지 않고 목숨을 걸고 도로를 달리고 있다. FCA 미국 법인에 따르면 이번 사고를 낸 닷지 램 가운데 수리를 받지 않은 차가 아직 2만 9000대나 됐다.
컨슈머리포트에 따르면 미국 전체에서 총 6700만 대의 차량이 리콜 수리를 받았지만 아직 1100만 대는 교체를 하지 않았다. 전 세계적으로 타카타 에어백 리콜 시정률은 약 75%로 추산한다.
타카타는 질산염 암모늄을 분사제로 하는 에어백을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전 세계 19개 제조사 34개 브랜드의 완성차에 1억 2000만개 이상을 공급했다. 리콜 대상 차량을 1억 2000만 대라고 보면 3000만 대 이상 운전자가 타카타 에어백에 목숨을 맡기고 있는 셈이다.
모든 대상 차량이 반드시 리콜 수리를 해야 하지만 타카타 에어백 가운데 특히 위험군에 노출된 모델도 있다. 2001년~2003년 사이 생산한 혼다와 아큐라의 전 모델, 2006년산 포드 레인저와 마쓰다 B 시리즈 픽업트럭, 199년산 BMW 323i, 328i가 대표적이다.
이들 차에는 타카타 에어백 중에서도 가장 사고가 빈번한 '알파 에어백'이 장착돼 있다. 미국 NHTSA는 이전과 다르지 않게 타카타 에어백 사망 사고가 발생한 2003년형 닷지 램 1500 픽업트럭 운행을 금지하는 명령을 내렸다.
이전에도 BMW, 혼다,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포드, GM, 토요타, 마쓰다 등 다수의 제조사들이 사고가 날 때마다 해당 차량의 운행 금지 명령을 받았다. 국내에도 타카타 에어백 리콜 대상 차량이 제법 남아있다.
미쓰비시, 페라리, 재규어 랜드로버, 맥라멘, 다임러 트럭, 르노삼성(현 르노코리아), 메르세데스 벤츠, 볼보트럭, BMW, 스바루, 아우디 폭스바겐, FCA, GM 코리아, 포드, 닛산, 토요타, 시트로엥, 혼다 등 대부분 수입차의 특정 연식이 포함돼 있다.
리콜 대상 여부는 '자동차 리콜센터'에서 차량 등록 번호 및 차대 번호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문가들은 타카타 에어백이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요즘 같은 장마와 여름철 사고 위험성이 더 크다고 경고한다. 습기에 취약한 질산염 암모늄이 멋대로 팽창하거나 충돌에 의한 팽창 시 금속 파편이 튀면서 승객에 심각한 상해를 입히기 때문이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현대차-고용노동부-산업안전상생재단, ‘상생형 산업안전 생태계’ 구축 맞손
[0] 2025-04-15 17:25 -
현대차그룹, 인도네시아 수소 생태계 조성 본격화
[0] 2025-04-15 17:25 -
렉서스코리아, ‘디 올 뉴 LX 700h’ 커넥트투 특별 전시
[0] 2025-04-15 17:25 -
현대차, 산업안전 ‘상생 생태계’ 만든다…민·관·학 손잡고 중소기업 지원
[0] 2025-04-15 17:25 -
[기자수첩] 꿈이 된 테슬라 완전 자율주행 '하드웨어' 교체 없이 불가능
[0] 2025-04-15 17:25 -
BYD 블레이드 배터리, 혁신적 기술로 한계 극복... 안전과 원가 경쟁력 뛰어나
[0] 2025-04-15 14:25 -
볼보, 색다른 매력 어필하는 'EX30 모스 옐로우 에디션' 최초 공개
[0] 2025-04-15 14:25 -
유럽연합, 탄소섬유 유해 물질로 지정 추진 '2029년부터 규제 가능성'
[0] 2025-04-15 14:25 -
BMW 코리아 미래재단 '2025년 대한민국 과학축제' 주니어 캠퍼스 운영
[0] 2025-04-15 14:25 -
현대차그룹, 드류 퍼거슨 전 美 연방하원의원 신임 워싱턴사무소장 선임
[0] 2025-04-15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아롱 테크] 전기차 꽁무니 따라가다 미치겠어 정말...제대로 열 받은 이유
-
현대차그룹, KTC와 협업 연말부터 ‘전기차 충전 품질 인증제도’ 운영 계획
-
폭스바겐, 올 연말 공개 앞둔 3세대 티구안 실내에 1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
'국내 출시 기대' 르노의 차세대 쿠페형 플래그십 SUV '라팔' 완전 공개
-
ZF, 중국 선양에 세 번째 e 모빌리티 공장 건설한다
-
BYD, 6월 충전형차 판매 233% 증가
-
테슬라 코리아, 신형 Model S 및 Model X 국내 인도 시작
-
[시승기] 기아 EV9, 우주의 다른 차원에서 온 전기차...그래도 아쉬운 것들
-
현대차그룹, 파리서 'BUSAN is READY!' 랩핑 전기차 부산 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
'100km/h까지 3.0초 · 680마력' 맥라렌, PHEV 슈퍼카 아투라 국내 인도 돌입
-
아우디, 디지털 라이트 시그니쳐 탑재 23년형 'Q4 e-트론' 국내 출시
-
기아 플래그십 SUV 'EV9' 최저 6920만원...19일 1호차 출고 시작 순차 인도
-
신형 모델 Sㆍ모델 X 국내 인도 시작, 테슬라 딜리버리 센터 리모델링 고객 맞이
-
도둑놈 제쳐두고, 관리 잘못한 주인 보다 물건 판 사람한데 죄 묻는 나라
-
스텔란티스 벤처스, 총 11곳 투자...지속가능한 모빌리티 기술 기업으로의 전환 가속화
-
현대모비스, 2023 알고리즘 경진대회 개최
-
롤스로이스 첫 순수전기차 스펙터, 한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중 최다 사전 주문
-
스텔란티스 벤처스, 작년 3월 출범 총 11곳 투자…최첨단 기술 채택 가속화
-
현대모비스, 총 상금 1억6000만원 '2023 알고리즘 경진대회' 개최
-
토요타자동차, 기가 캐스트 도입해 개발/생산비 절반으로 줄인다
- [포토] 판타스틱 베이비
- [포토] 야외노출
- [포토] 레드와 블랙의 양상볼
- [포토] 남성저격 몸매
- [포토] SM
- [포토] AV배우몸매
- [포토] 카지노 야한여자
- [유머] 챗지피티야 이세상에 없는걸 그려봐
- [유머] 남자애 둘이 나 때문에 싸워
- [유머] 로또 당청됐어요
- [유머] 회사에 바라는게 있나?
- [유머] 지갑이 교배했으면 좋겠다
- [유머] 일본 소학교(초등학교) 샤프 금지령
- [유머] 오징어게임에 절대로 참가시키면 안 되는 사람
- [뉴스] 박봄, 서울 콘서트 '리허설 '사진 공개... 극적인 외모 변화에 팬들 우려
- [뉴스] 솔로로 코첼라 무대 선 리사... 19금 퍼포먼스에 팬들 '깜짝'
- [뉴스] '데블스 플랜: 데스룸' 플레이어 14인 공개... 완전 새 캐릭터 등장
- [뉴스] '일면식 없는 남성 살해 후 지문으로 6천만원 대출' 양정렬, '무기징역' 선고
- [뉴스] 일가족 5명 살해한 유력 용의자 잡고 보니... '집안 가장'이었다
- [뉴스] 김성훈 경호처 차장, 직원들 집단 반발에 결국 사의 표명
- [뉴스] '10시 정각, 달리자!'... 이재명이 후원 계좌 열자마자 생긴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