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34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5-25 11:25
[아롱테크] 평균 길이 4000m, 자꾸 늘어나는 자동차 전기 배선...해결책은?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사물인터넷(IoT)이 자동차 기술과 융합되면서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 스마트기기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텔레매틱스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교통시스템(ITS)과 GPS 및 각종 센서기술을 활용한 충돌방지 및 지능형 자동주행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세상과 연결되는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로까지 연결성이 확장되고 있지요. 이처럼 최근 자동차시스템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포함한 차량 안에 탑재된 다양한 전자부품과 제어시스템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이 탑재됩니다.
이를 통해 엔진과 트랜스미션, 브레이크, 인포테인먼트, 안전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통신을 주고 받으며 동작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기배선의 길이를 모두 합치면 무려 4000m를 훌쩍 뛰어 넘게 됩니다.
문제는 자동차에 탑재된 다양한 파워트레인 및 전장시스템들을 이처럼 직접 전기배선으로 연결하게 되면 시스템이 너무 복잡해지고 배선증가로 인해 차량무게가 증가하거나, 통신오류가 발생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최근 자동차는 각각의 시스템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 서로 통신을 주고받는 통신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통신 네트워크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유지보조 시스템, 멀티미디어 시스템, 텔레매틱스 등과 같이 최신 자동차의 고급 기능을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전장시스템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교환, 동기화 및 조정이 가능해 짐에 따라 차량의 성능과 안전, 사용자 경험 향상에도 기여합니다.
현재 자동차용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CAN(Controller Area Network)과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FlexRay, AUTOSAR, Ethernet 등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흔히 자동차 정비업소에서 자동차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때 사용되고 있는 고장진단기(스캐너)나 파형진단기는 CAN과 LIN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지요.
CAN은 하이(High)와 로우(Low) 등 두 개의 배선이 필요하고 통신속도도 낮기 때문에 주로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전장시스템과 같은 전기-기계시스템에 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자동차를 타고 가면서 라디오나 음악을 듣거나 DMB를 시청하는 등 AVN(Audio, Video, Navigation)을 이용한 인포테인먼트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멀티태스킹은 물론 고해상도의 동영상 스트리밍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위한 고속 통신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오토사(AUTOSAR), 플렉스레이(FlexLay)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전용 통신시스템은 하나의 동축케이블이나 광섬유케이블 등을 이용해 고속(실시간)으로 음성이나 영상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 150Mbps의 고속통신이 가능한 표준형 TCP/IP와 같은 이더넷(Ethernet, 무선통신네트워크)을 지원해 MPEG와 같은 비압축 동영상을 스트리밍할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중심차량(SDV) 등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CAN 통신 프로토콜의 단점을 보완한 CAN FD(Controller Area Network Flexible Data Rate)를 적용한 차량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국산 전기차와 일부 중대형 승용차에도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자동차에 적용된 각종 시스템이 고도화되고 복잡해지면서 각각의 시스템 ECU가 처리해야 할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기존 통신 네트워크보다 더 빠르고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해야 함에 따라 기존 CAN으로는 데이터 전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자동차의 각종 시스템 ECU가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이더넷과 같은 새로운 고속 통신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지만 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도 있습니다. CAN FD는 기존 CAN 시스템과 호환이 가능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더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CAN FD는 기존 CAN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 CAN의 경우 1초당 500키로바이트(500kbps), 최대 1메가바이트(1Mbps)의 속도로 한 번에 약 8바이트(8byte)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반면, CAN FD는 1초에 2Mbps, 최대 8Mbps의 속도로 최대 64바이트까지 전송이 가능해 기존 CAN보다 8배 이상 많은 데이터를 빠르게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확장된 데이터 전송량은 센서측정, 비디오 스트림 또는 진단정보와 같은 더 큰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데 유리합니다. 또한 CAN FD는 향상된 오류감지 메커니즘을 갖춰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 장점입니다. 예를 들어 전자기 간섭이 있는 경우에도 강력한 통신을 유지하기 위해 비트 전송률을 자동으로 전환해 주지요.
이러한 CAN FD는 차량의 다양한 제어장치 간에 더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해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향상은 물론 파워트레인 제어 및 전기차의 배터리관리, 자율주행 기능을 지원해 줍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기존 CAN의 경우 5V 전원을 사용하지만 CAN FD의 경우 1V 미만의 mV 단위로 동작하므로 정밀하면서도 빠른 제어가 가능하지만, 블랙박스와 같은 외부 전원장치나 전자파 등에도 매우 민감해 전원관리에 유의해야 한다”고 얘기합니다.
김아롱 칼럼니스트/[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한자연, ‘2025년 제1차 자동차 ISC 운영위원회’ 개최
[0] 2025-05-16 17:25 -
메르세데스-벤츠, 미국 생산 확대… 앨라배마 공장에 GLC SUV 추가
[0] 2025-05-16 14:25 -
조용한 상하이, 더 단단해진 중국차의 속내
[0] 2025-05-16 14:25 -
도요타, ‘bZ 우드랜드’ 공개...418km 달리는 정숙한 전기 오프로더 SUV
[0] 2025-05-16 14:25 -
[EV 트렌드] 머스크는 돌아왔는데 유럽에서 테슬라 차량 대규모 반납 사태
[0] 2025-05-16 14:25 -
아우디 뉴 A5, 짧은 만남 긴 여운 “성능은 탑인데 멀리서 보면 모르겠어”
[0] 2025-05-16 14:25 -
마세라티, 절제된 블랙 그레칼레 스페셜 에디션 ‘네로 인피니토’ 출시
[0] 2025-05-16 14:25 -
넥세권에서 귀호강, 현대차 신형 넥쏘 '오디오 바이 뱅앤올룹슨' 탑재
[0] 2025-05-16 14:25 -
현대차·기아-서울대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구축... E-FOREST센터 주도
[0] 2025-05-16 14:25 -
美 환경보호청, 공회전 방지 장치 불편하다? 탄소 크레딧 폐지 공식 검토
[0] 2025-05-16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뉴 푸조 408 앰배서더 프라임킹즈, 역동적인 퍼포먼스로 뉴 408 매력 전파
-
마세라티, 모터밸리 페스트에서 선보이는 ‘V8 라스트 댄스’...전동화 시대 본격화
-
르노코리아, XM3 수출 경쟁력 높인 임직원 자동차의 날 유공자 포상
-
기아-카카오모빌리티, 카헤일링 전용 PBV 및 연계 플랫폼 서비스 개발
-
페라리 과거ㆍ미래ㆍ현재를 한눈에 ‘우니베르소 페라리’ 아시아 최초 한국 DDP 개최
-
[시승기] 쏘나타 디 엣지, 대중을 굽어 살펴 다시 국민차로 돌아오라
-
[김흥식 칼럼] 스쿨존 '보복 가속' 후면 무인 카메라와 구간 단속 검토해야
-
토요타, 2030년까지 전기차 개발에 5조엔 투자한다
-
[컨슈머인사이트] 프리미엄 차 시장, 제네시스 중심 '1강 2중' 체제로
-
TI, SiC 게이트 드라이버로 전기차 주행거리 극대화 지원
-
레고그룹, ‘레고 테크닉 푸조 9X8 24H 르망 하이브리드 하이퍼카’ 출시
-
페라리, 고객 초청 시승행사 ‘에스페리엔자 페라리 296 GTS’ 성료
-
중국, 4월 승용차 판매 55.5% 증가
-
중국 4월 신에너지차 판매 85.6% 증가
-
메르세데스-벤츠, 전설의 오프로더 G-클래스 누적 생산 50만대 돌파
-
볼보, 중국 상하이에 새 디자인센터 오픈
-
中 강제노동 멈춰라, 獨 인권단체 폭스바겐 그룹 주총 난입 케이크 공격
-
중국 석유업체 CNOOC, 중국 최초의 심해 부유 풍력발전소 완
-
테슬라, 기가 텍사스 주당 5,000대 생산 달성
-
254. 전기차 과연 안전한가?
- [유머] 시바견의 놀라운 반사신경
- [유머] 순발력좋은 와이퍼냥이
- [유머] 놀라운 점프력
- [유머] 고양이 진자운동짤
- [유머] 들어갈때는 천명 나갈때는 백명인 가게는?
- [유머] 어느 라멘집 알바의 서비스
- [유머] 기차놀이
- [뉴스] 손흥민, 36일 만의 선발 출전... 토트넘은 애스턴 빌라에 0-2 패배
- [뉴스] 미국서 '뇌출혈 수술' 받았던 안재욱 '수술비만 5억원 나와... 눈 감고 싶었다'
- [뉴스] 이천수♥심하은 딸, 미국 존스홉킨스대 '영재캠프' 합격했다
- [뉴스] 국방부가 곧 데려가는 '97년생' 남자 스타들
- [뉴스] 세븐틴 10살 생일 맞는 26일, 정규 5집 나온다... '완전히 새롭게 재탄생'
- [뉴스] 한가인, 평소 사용하는 목욕제품 소개하자 품절 사태 '사장님이 해킹된 줄 알았다고 댓글까지'
- [뉴스] 레드벨벳옆에서 시선 강탈하던 경호원... 배우로 데뷔해 아이린과 함께 영화 '주연'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