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8,370KAMA,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동향 보고서 발표
조회 5,322회 댓글 0건
![레벨3](images/test/l3.png)
머니맨
2023-04-24 11:00
KAMA,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및 정책동향 보고서 발표
![](http://img.danawa.com/cp_images/service/33/5330320/402e41c5.jpg)
2022년 해외 자동차 시장은 중국, 인도, 멕시코, 아세안 등 신흥시장은 회복세를 보였으나, 유럽 및 미국, 러시아, 브라질 시장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이커 국적별로는 중국계가 24.3% 증가해 8개 시장의 성장을 견인했으며, 미국계는 0.6% 증가로 전년 수준, 한국계 4.4%↓, 유럽계 5.5%↓, 일본계 5.9%↓각각 하락했다.
특히 한국계는 인도(17.5%↑)와 아세안(58.8%↑)시장에서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사업 중단과 중국시장 부진으로 전년대비 4.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 자동차산업의 팽창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글로벌 동등 경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 강남훈)는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멕시코, 브라질, 러시아, 아세안 등 해회 8개 주요 자동차 시장의 정책 동향을 담은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시장 판매 및 정책동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8개 주요시장의 승용차 판매는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한 5853만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차 판매는 0.6% 감소한 8,102만대(LMC 기준)이나, 보고서의 8개 주요시장 판매의 합계는 1.2% 증가했다.
시장별로는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흥시장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를 보였으나, 선진시장은 전쟁 및 인플레이션, 고금리의 영향으로 시장 축소 경향을 보였다.
미국시장은 공급망 차질과 이에 따른 신차 공급부족, 인플레이션 심화 등의 원인으로 차량가격은 상승한 반면,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소비자 구매력이 약화됨에 따라 8.1% 판매가 감소했다.
유럽시장은 러-우 전쟁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둔화 영향으로 전년대비 4.1% 감소, 코로나 이후 3년째 내수 반등에 실패했다.
![85f859f4c0d9bf2c81745cf4f3ebad10_1682065855_6732.jpg](http://img.danawa.com/cp_images/service/33/5330320/18112d6c.jpg)
중국시장은 상반기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저조했으나, ‘22.6월 이후 시행된 소비 진작책 및 봉쇄 완화로 급격히 수요가 회복돼 9.7% 증가하면서 8개 시장의 판매 증가를 견인했다. 인구 최다 보유국인 인도시장에서는 코로나19와 반도체 공급난이 동시에 안정되고 강한 수요반등으로 이어지면서 역대 최고 판매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23% 증가,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 내수 시장으로 성장했다.
반도체 공급난 완화 이후 멕시코 시장은 5월부터 8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져 7.1% 증가한 반면, 브라질은 고금리 영향으로 구매력이 약화되면서 0.8% 감소한 전년 유사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 시장은 전쟁, 글로벌 메이커의 사업철수 등으로 반토막, 전년대비 58.8% 감소를 보였다.
해외 8개 주요시장의 메이커 국적별 증감률은 중국계(24.3%↑)가 큰 폭으로 성장, 미국계는 전년 수준(0.6%↑)을 보였으나 이외 유럽계(5.5%↓), 일본계(5.9%↓), 한국계(4.4%↓) 등은 모두 전년대비 감소세를 나타냈다.
중국계는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BYD 등 EV업체를 비롯한 로컬브랜드의 성장에 힘입어 24.3%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미국계(18.3%)의 점유율을 처음으로 넘어서는 수준으로 확대됐다.
미국계는 내수 시장이 부진했던 미국과 유럽에서는 각각 0.7%, 0.3% 감소했으나, 멕시코 23.4%, 아세안 지역 33.9%의 시장 평균을 상회하는 증가를 보여, 전체 판매는 전년과 유사한 수준(0.6%↑)을 보였으며 시장점유율은 18.3%로 전년대비 0.1%p 하락했다.
유럽계는 판매비중이 높은 유럽시장이 전쟁 영향을 크게 받으면서 전년대비 5.5% 감소, 점유율도 1.8%p 하락했다.
한국계는 대부분의 시장에서 전년대비 증가한 양호한 실적을 보였으나, 중국과 러시아 시장 리스크 지속으로 전년대비 4.4% 판매 감소, 시장점유율도 7.7% → 7.3%로 0.4%p 소폭 축소됐다.
일본계도 미국시장에서 반도체 등 공급 차질, 전동화 대응 지연 등으로 부진하여 전체 5.9% 감소를 가져왔으며, 시장점유율도 1.9%p 축소된 25.3%로 나타났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정체 또는 하락 기조에도 불구하고 전기동력차 시장은 여전히 급성장세를 보였다.
8대 주요시장의 2022년 전기동력차 시장은 전년대비 43.4% 성장, 미국·유럽·중국 3개 시장이 99.1%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각 시장 내에서 전기동력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환경규제가 시장을 이끄는 유럽이 46.3%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는 중국이 NEV 보조금 등 강력한 정부 육성정책에 힘입어 31.2%, 미국은 12.3% 수준을 나타냈다.
이외 국가들은 전기동력차 판매 비율이 약 2% 미만이나 성장률로 보면 아세안이 810%, 브라질 45.7%, 인도 30.4%로 증가율이 높아 향후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됐다.
![85f859f4c0d9bf2c81745cf4f3ebad10_1682065865_1061.jpg](http://img.danawa.com/cp_images/service/33/5330320/59fc9799.jpg)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내연기관차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자국 산업육성과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입법 추진을 강화하고 있으며, 신흥국에서도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국내 전기차산업 투자유치 및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특히 미국 캘리포니아 주 대기자원국(CARB)은 2026년 이후 신규 차량에 대한 더욱 강화된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LEV4) 도입을 추진한다.
2035년 이후 새 휘발유차 판매를 금지하는 한편, 그 전까지의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허용기준 강화 및 시험항목 추가 등 배기가스 규제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EU 집행위는 현행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 Euro 6보다 강화된 Euro 7 기준을 제안(’22.11.10)한데 이어 3월에는 미국 IRA법에 대응한 CRMA(핵심원자재법) 초안을 발표했다.
원회는 신규 경량 차량(승용차 및 밴)은 2025 7월 1일부터, 신규 대형 차량(트럭 및 버스)은 2027년 7월 1일부터 적용·발효할 것을 제안했다.
내연기관 자동차의 배기가스 배출규제를 넘어서 무공해차(ZEV)에도 적용되는 브레이크 마모, 미세플라스틱 방출 타이어, 베터리 내구성 규제를 포함한다.
중국은 코로나 봉쇄로 인한 자동차업체들의 손실을 보전하고 소비유도를 통한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종 지원책을 실시하며 내연기관차와 NEV, 중고차까지 지원대상을 확대하여 시행했으며, 아세안 주요국들도 투자유치 및 전동화 전환을 위한 생산자 및 소비자 인센티브를 적극 시행한다.
KAMA 강남훈 회장은 “글로벌 경기둔화와 반도체 수급불안 등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한국계 브랜드는 현지화 제품 확대 및 친환경차 라인업 강화를 통해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고, 우려하였던 중국의 글로벌 팽창이 현실화되면서 중국차의 점유율이 20%에 육박하는 한편, 각 국 정부는 환경규제는 강화하면서도 자국 산업 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어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상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강남훈 회장은 이어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리 산업이 도태되지 않고 전기차 생산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전기차 생산 전환 및 미래차 초격차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 면서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세액공제를 경쟁국 수준으로 대폭 확대(25%)하고, 미래차 핵심기술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며, 아울러 해외시장에서 우리 업계가 차별받는 일이 없도록 정부의 외교적 노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최신글레벨3](images/test/l3.png)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기아, 아이오닉 9 견제용 실구매가 6100만원대 'EV9 스탠다드' 출시
[0] 2025-02-18 14:25 -
올해 서른살 청년이 된 수입차협회, 혁신과 다양성으로 미래를 열겠다
[0] 2025-02-18 14:25 -
현대차, 예술 생태계 초지역적 협업의 장 '현대 트랜스로컬 시리즈' 공개
[0] 2025-02-18 14:25 -
'편의사양 강화 · 카고 적재 성능 개선' 현대차, 2025 더 뉴 마이티 출시
[0] 2025-02-18 14:25 -
BYD, 깜짝 놀랄 저가 전기차 출시 예고... 2030년 전고체 배터리 대량 생산
[0] 2025-02-18 14:25 -
아이오닉 5 N TA, 모델 S 플레이드보다 빨랐다... 어택 츠쿠바 랩타입 신기록
[0] 2025-02-18 14:25 -
[뜨거운 희망, 양승덕의 국밥 기행 13] 중용의 맛, 회령손만두국 '만두 뚝배기'
[0] 2025-02-18 14:25 -
[EV 트렌드] 지프, 차세대 전기 오프로드 아이콘 '리콘' 디자인 공개
[0] 2025-02-18 14:25 -
트럼프 효과?, 美 전기차 비정상적 '급증'... 테슬라 점유율 오히려 하락
[0] 2025-02-18 14:25 -
올해도 우승하는 거죠. 정의선 회장, 기아 타이거즈 스프링캠프 깜짝 방문
[0] 2025-02-18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휴게소 점령 화물 전기차 불편 해소될까?...환경부, 화물집합 센터 207곳에 충전소
-
'역사상 가장 강력한 환경 규제' 美 환경보호청, 오는 12일 신규 탄소배출 규제안 발표
-
AMG만의 매력적 주행성능 발휘 고성능 전기 세단 ‘더 뉴 메르세데스-AMG EQE’ 출시
-
테슬라, 상하이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 '메가팩' 신설… 내년 2분기 생산 시작
-
열흘간 51만 명 찾은 2023서울모빌리티쇼 폐막, 로보틱스 등 출품 범위 확대
-
뉴욕을 깜짝 놀라게 한 '제네시스 GV80 쿠페' 콘셉트 최대한 살려 양산 확정
-
반도체는 몰라도 '완성차 공장' 우리가 국내에, 해외기업도 투자할 이유가없다.
-
[아롱 테크] 요즘 자동차 고도화, 소프트웨어 코딩 라인 '2000만 줄' 우주 왕복선 40배
-
생각 바꾼 토요타, 2026년 순수 전기차 10종 출시...EV 모드 200km PHEV 개발
-
르노코리아자동차, 전국 전시장서 이번 주말 계약 고객 모두에게 추가 혜택 증정
-
중고차 성수기 봄, 싸고 좋은 매물은 없다...이것만 기억해도 당하지 않는다.
-
[한국자동차연구원]테슬라의 48V 아키텍처 도입의 의미
-
249. 전기차 시장에서의 중국 CATL 주도권 더욱 강해진다
-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글로벌 차량호출서비스 우티와 업무협약 체결
-
[시승기] BMW, 3세대 완전변경 뉴 X1 '확 바뀐 주행 성능에 깜짝'
-
[EV 트렌드] 폴스타, 지난 1분기 1만 2000대 고객 인도 '올해 폴스타 3로 8만 대 목표'
-
KG 모빌리티, 세상에 단 한대 토레스뉴 렉스턴 스포츠 칸 소유 기회 온라인 라이브 경매
-
현대차그룹, 2025년까지 전차종 SDV로 전환 '혁신적 사용자 경험 제공'
-
벤틀리, 13개 평가 항목 중 9개 최고점 '영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자동차 회사’ 선정
-
[공수 전환] 포터II 일렉트릭 겨냥한 BYD T4K, 아쉬운 완성도와 가격차 극복할까?
- [유머] 과학자들도 극복 못한 자연의 섭리
- [유머] 회사 구내식당 4,000원 호불호
- [유머] 돼지 농장에서 종종 뼈다귀가 발견되는 이유 ㄷㄷ
- [유머] 연봉이 1억인 정원사의 솜씨
- [유머] 1년과 맞 바꾼 1800만원
- [유머] 해외에서 논란 터진 펩시 제로
- [유머] 한국의사들이 투덜대는 의료소송 팩트체크
- [뉴스] 일본, 올해도 '다케시마의 날' 기념식 연다... 13년 연속 차관급 인사 파견
- [뉴스] 누리꾼과 '설전' 벌였던 '나는솔로' 24기 옥순, '동생이 벤츠 사줌'이라더니...
- [뉴스] 덱스, 외모 불만 토로... 母 '넌 그나마 덜 찌그러진 것' 팩폭
- [뉴스] 길에서 주운 복권 1등 당첨 확인하고 '경찰서'로 가져간 아주머니... 이유 묻자 '이렇게' 답했다
- [뉴스] '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56% 일반의로 '동네 병원' 재취업
- [뉴스] 천정명, 두 번째 맞선녀 만나고 속마음 고백... '되게 화려하게 생겼다'
- [뉴스] 서정희 母, 딸 첫 결혼 회상하며 '끔찍했다...나도 매일 울어'